1908년에 통감부가 세운 경성감옥이 1912년에 서대문감옥으로, 1923년에 서대문형무소로 개칭하였다. 현재의 서울서대문구 현저동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자리에 있었다. 의병장 허위가 경성감옥 제1호 사형수로 사형되는 등, 일제 강점기 동안 많은 항일 운동가들이 수감되고 옥사하거나 사형되었다. 대한민국에서도 1987년까지 계속 교도소로 사용되었다.
서대문형무소의 전신인 경성감옥의 공간이 부족해지자, 1912년에 조선총독부가 신설한 형무소이다. 현재의 서울마포구 공덕동에 있었으며, 경성감옥으로 불리게 되었다. 일제 강점기 동안 대전형무소와 함께 무기징역형을 받은 죄수나 장기 수형자를 수용하는 곳이었다. 대한민국에서도 1963년까지 교도소로 사용되었다.
영등포형무소
대한제국 시기부터 설치되어 있던 영등포감옥을 조선총독부가 경성감옥 영등포분감으로 개편하여 활용하였다. 1920년에 청진감옥, 신의주감옥, 목포감옥, 전주감옥과 함께 본감으로 승격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1949년에 부천형무소를 새로 설립하였고, 후에 이 기관이 영등포교도소로 바뀌었다.
경성감옥 인천분감
1909년에 통감부는 인천부에 경성감옥 인천분감을 설치하여 1923년까지 운영하였다. 김구가 수감되어 항만 건설 노역에 참여한 곳이다.
청소년 범죄자 수감을 위해 1936년부터 인천부에서 운용된 형무소이다. 18세 미만의 형기 1년 이상, 초범자로서 학력 보통 학교 3년 이상 수학한 자를 집금하도록 하였다.[1] 대한민국에서는 인천소년형무소로 활용하다가 1990년에 기능을 천안소년형무소로 이전하고 인천구치소로 바뀌었다.
경상남도부산부에 설치된 형무소이다. 1898년에 감옥 업무를 시작하고 1906년에 부산감옥으로 개칭되어 역사가 오래된 편이다. 마산에는 부산형무소 마산지소를 운영했다. 부산형무소는 대한민국에서 부산교도소를 거쳐 부산구치소로 개편되었고, 부산형무소 마산지소는 마산교도소로 사용된다.
김천소년형무소
1923년 대구형무소 김천분감을 승격시켜 설치되었다. 20세 미만의 남자 소년과 이에 준하는 형기 1년 이상의 자를 수감하였다.[1] 대한민국에서는 김천소년형무소로, 이어 지금의 김천소년교도소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