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 EBV)는 헤르페스바이러스과 의 바이러스들 중 사람을 감염시키는 9가지 바이러스중에 하나이다. 사람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바이러스들 중 하나이다.
감염성 단핵구증 의 가장 큰 원인이다. 비악성 전암 및 버킷 림프종 , 혈구탐식성 림프조직구증 ,[ 2] 호지킨 림프종 등의 악성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연관 림파구증식 질병 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림프구와 무관하게 위암 , 비인두암 을 일으키기도 하고,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와 함께 구강모백반증 이나 중추신경계통 림프종 을 일으키기도 한다.[ 3] [ 4] 소아에게 앨리스 증후군 과[ 5] 급성소뇌성 실조증 을 일으키며,[ 6] 피부근염 , 전신 홍반성 루푸스 , 류머티스 관절염 , 쇼그렌 증후군 ,[ 7] [ 8] 다발성 경화증 [ 9] [ 10] [ 11] 등 자가면역질환 을 일으키기도 한다.[ 12] 매년 20만 이상의 암이 이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한다.[ 13] [ 14]
침 이나[ 15] 생식기 분비액으로 전염될 수 있다.
대부분은 심각한 증상으로 발전하기 전에 후천 면역 을 획득한다. 미국에서 조사한 결과 만 5세 이하의 어린이들 중 절반이, 성인들 중 90%가량이 이전에 감염된 흔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 유아의 경우 어머니로부터 받은 항체의 보호 가 사라지면 바로 취약해진다. 많은 어린이들이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만 대부분 경미하고 짧은 증상만을 보인 뒤 정상으로 돌아간다. 청소년기에 감염될 경우 35~50%가 감염성 단핵구증 을 앓는다.[ 17]
면역계의 B세포 와 상피세포 를 감염시킨다. 초기 용균성 감염이 면역계에 의해 적절하게 통제된 후에는 B세포에 잠복 하여 평생을 살아간다.[ 15] [ 18]
증상
어린이의 경우 대부분 증상을 나타내지 않지만, 청소년인 성인이 되어서 처음 감염된 경우 피로 , 발열 , 인후염 , 목의 임파선염 , 비장종대 , 간비대 ,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19]
바이러스학
엡스타인-바 바이러스의 구조도
구조와 유전체
바이러스는 122에서 180nm의 직경을 가지며, 17만 2천개의 염기쌍 과 85개의 유전자 를 보유한 DNA 를 유전체로 가진다.[ 15] 유전체는 캡시드 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는 다시 지질 로 구성된 바이러스 외피 로 둘러싸여 있다.[ 20] 이 외피에는 당단백질 이 붙어 있어 바이러스 침입 을 돕는다.[ 20]
친화성
바이러스의 친화성 이란 그 바이러스가 특정 조직에 잘 감염되는 성질을 말한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의 경우 B세포 와 상피 세포 에 주로 감염된다.[ 21]
gH, gL, gp42의 세 가지 단백질로 구성된 당단백질 복합체의 gH와 gL은 상피 조직 세포와 융합하는 것을 촉진하며, 이 복합체 전체는 B세포의 막과 바이러스 외피가 융합되는것을 촉진한다. B세포 내부에서 조립된 바이러스는 gH gL gp42 복합체를 비교적 적게 가지고 있는데, 이는 B세포의 소포체에 있는 사람 백혈구 항원 MHC 2군 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상피 세포에서 증식한 바이러스는 세 가지 구성 단백질을 모두 갖추고 있다. 그 결과 B세포에서 만들어진 바이러스는 상피 세포에, 상피 세포에서 만들어진 바이러스는 B세포에 더 잘 감염되는 현상이 생긴다. gp42단백질이 없는 바이러스는 B세포에 결합할 수는 있으나 감염시키지는 못한다.[ 22]
각주
↑ “ICTV Taxonomy history: Human gammaherpesvirus 4 ” .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2019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Rezk SA, Zhao X, Weiss LM (September 2018). “Epstein-Barr virus (EBV)-associated lymphoid proliferations, a 2018 update”. 《Human Pathology》 79 : 18–41. doi :10.1016/j.humpath.2018.05.020 . PMID 29885408 .
↑ Maeda E, Akahane M, Kiryu S, Kato N, Yoshikawa T, Hayashi N, 외. (January 2009). “Spectrum of Epstein-Barr virus-related diseases: a pictorial review”. 《Japanese Journal of Radiology》 27 (1): 4–19. doi :10.1007/s11604-008-0291-2 . PMID 19373526 .
↑ Cherry-Peppers G, Daniels CO, Meeks V, Sanders CF, Reznik D (February 2003). “Oral manifestations in the era of HAART” . 《Journal of the National Medical Association》 95 (2 Suppl 2): 21S–32S. PMC 2568277 . PMID 12656429 .
↑ Mastria G, Mancini V, Viganò A, Di Piero V (2016). “Alice in Wonderland Syndrome: A Clinical and Pathophysiological Review” .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6 : 8243145. doi :10.1155/2016/8243145 . PMC 5223006 . PMID 28116304 .
↑ Nussinovitch M, Prais D, Volovitz B, Shapiro R, Amir J (September 2003). “Post-infectious acute cerebellar ataxia in children” . 《Clinical Pediatrics》 42 (7): 581–4. doi :10.1177/000992280304200702 . PMID 14552515 .
↑ Dreyfus DH (December 2011). “Autoimmune disease: A role for new anti-viral therapies?”. 《Autoimmunity Reviews》 11 (2): 88–97. doi :10.1016/j.autrev.2011.08.005 . PMID 21871974 .
↑ Pender MP (2012). “CD8+ T-Cell Deficiency, Epstein-Barr Virus Infection, Vitamin D Deficiency, and Steps to Autoimmunity: A Unifying Hypothesis” . 《Autoimmune Diseases》 2012 : 189096. doi :10.1155/2012/189096 . PMC 3270541 . PMID 22312480 .
↑ Ascherio A, Munger KL (September 2010). “Epstein-barr virus infection and multiple sclerosis: a review”. 《Journal of Neuroimmune Pharmacology》 5 (3): 271–7. doi :10.1007/s11481-010-9201-3 . PMID 20369303 .
↑ Moreno MA, Or-Geva N, Aftab BT, Khanna R, Croze E, Steinman L, Han MH (July 2018). “Molecular signature of Epstein-Barr virus infection in MS brain lesions” . 《Neurology》 5 (4): e466. doi :10.1212/NXI.0000000000000466 . PMC 5994704 . PMID 29892607 .
↑ Hassani A, Corboy JR, Al-Salam S, Khan G (2018). “Epstein-Barr virus is present in the brain of most cases of multiple sclerosis and may engage more than just B cells” . 《PLOS One》 13 (2): e0192109. Bibcode :2018PLoSO..1392109H . doi :10.1371/journal.pone.0192109 . PMC 5796799 . PMID 29394264 .
↑ Toussirot E, Roudier J (October 2008). “Epstein-Barr virus in autoimmune disease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22 (5): 883–96. doi :10.1016/j.berh.2008.09.007 . PMID 19028369 .
↑ “Developing a vaccine for the Epstein–Barr Virus could prevent up to 200,000 cancers globally say experts” . 2014년 3월 24일. 2017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Khan G, Hashim MJ (2014). “Global burden of deaths from Epstein-Barr virus attributable malignancies 1990-2010” . 《Infectious Agents and Cancer》 9 (1): 38. doi :10.1186/1750-9378-9-38 . PMC 4253616 . PMID 25473414 .
↑ 가 나 다 Amon W, Farrell PJ (November 2004). “Reactivation of Epstein-Barr virus from latency”. 《Reviews in Medical Virology》 15 (3): 149–56. doi :10.1002/rmv.456 . PMID 15546128 .
↑ About 90% of adults have antibodies that show that they have a current or past EBV infection. 보관됨 2016-08-08 - 웨이백 머신 National Center for Infectious Diseases
↑ CDC. “Epstein–Barr Virus and Infectious Mononucleosis” . CDC. 2012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 Khan G, Miyashita EM, Yang B, Babcock GJ, Thorley-Lawson DA (August 1996). “Is EBV persistence in vivo a model for B cell homeostasis?”. 《Immunity》 5 (2): 173–9. doi :10.1016/s1074-7613(00)80493-8 . PMID 8769480 .
↑ “About Epstein–Barr Virus (EBV)”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년 9월 14일.
↑ 가 나 Odumade OA, Hogquist KA, Balfour HH (January 2011). “Progress and problems in understanding and managing primary Epstein-Barr virus infections” .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24 (1): 193–209. doi :10.1128/CMR.00044-10 . PMC 3021204 . PMID 21233512 .
↑ Shannon-Lowe C, Rowe M (February 2014). “Epstein Barr virus entry; kissing and conjugation”. 《Current Opinion in Virology》 4 : 78–84. doi :10.1016/j.coviro.2013.12.001 . PMID 24553068 .
↑ Wang X, Hutt-Fletcher LM (January 1998). “Epstein-Barr virus lacking glycoprotein gp42 can bind to B cells but is not able to infect” . 《Journal of Virology》 72 (1): 158–63. doi :10.1128/jvi.72.1.158-163.1998 . PMC 109360 . PMID 9420211 .
외부 링크
Human gammaherpesvirus 4 Human herpesviru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