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심정지
심정지 모의 시험을 통하여 심폐소생술을 받는 모습.
진료과심장학, 응급의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심전도 상에 나타난 심실무수축, 심장이 정지한 상태

심정지(心停止, 영어: cardiac arrest, 의학: arrest 어레스트[*])는 심장이 효율적으로 수축하는 데 실패하여 의 일반적인 순환계가 멈추는 현상으로, 혈액의 공급이 완전히 멎은 상태를 의미한다.[1] 심정지는 심장 근육으로의 피 흐름이 문제가 있는 심장 발작이 원인이 되어 일어날 수도 있지만 동의어는 아니다.[2] 심정지가 일어난 경우 뇌사 상태로 진행되기 전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이 시행되면 생존율이 높지만, 4분이 지나면 생존율이 매우 낮아진다.

심정지의 원인은 일차적으로 심장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심정지가 발생하는 심장성(cardiogenic) 심정지와 심장질환 이외의 다른 질환에 의한 합병증으로서 심정지가 발생하는 비심장성(non-cardiogenic) 심정지로 구분할 수 있다. 심장성 심정지의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질환이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심장질환, 다른 질환에 의한 급격한 심박출량의 감소, 전해질 불균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치명적 부정맥, 유전질환 등이 심정지를 유발한다. 심장성 심정지의 발생과정은 전구증상, 유발증상, 심정지 발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구증상은 흉통, 심계항진, 호흡곤란, 전신 쇠약감 등과 같이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 발생하여 임상증상으로 발현되는 과정이다. 심정지 유발증상은 신체기능의 급격한 변화를 유발하는 임상증상으로서 부정맥, 저혈압 또는 쇼크, 호흡곤란 또는 흉통의 악화와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심정지 유발증상이 발생한 후에는 언제든지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 비심장성 심정지란 심장이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더라도 다른 장기의 기능부전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심정지가 유발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차적으로 심정지를 유발하는 흔한 원인으로는 폐질환이나 기도폐쇄에 의한 호흡부전을 들 수 있다. 특히 소아에서는 기도폐쇄에 의한 질식이나 급성 영아사망증후군이 심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3]

각주

  1. Jameson, J. N. St C.; Dennis L. Kasper; Harrison, Tinsley Randolph; Braunwald, Eugene; Fauci, Anthony S.; Hauser, Stephen L; Longo, Dan L. (2005).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New York: McGraw-Hill Medical Publishing Division. ISBN 0-07-140235-7.
  2. “보관된 사본”. 2010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8일에 확인함. 
  3. 황성오·임경수, 《심폐소생술과 전문 심장소생술》(4판,2011, 군자출판사)

같이 보기

외부 링크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