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림왕(小獸林王, ? ~ 384년음력 11월, 재위 : 371년음력 10월 ~ 384년음력 11월)은 고구려의 제17대 국왕이다.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또는 해미류왕(解味留王)이라고도 한다. 티베트계 저족이 세운 국가인 전진(前秦)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고 태학을 설립하였으며 율령을 반포하는 등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고구려 전성기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생애
탄생과 즉위
고국원왕(故國原王)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누구인지 알 수 없다. 이름은 구부(丘夫)이며, 신체가 장대하고, 웅대한 지략이 있었다고 한다. 355년(고국원왕 24년) 1월 태자에 책봉되었다.[3]
371년(고국원왕 40년) 10월, 백제근초고왕과의 전투에서 부왕인 고국원왕이 전사하자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치세
불교 수용
372년(소수림왕 2년) 6월, 전진(前秦)의 왕 부견(苻堅)이 사신과 함께 승려 순도(順道)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을 전함으로써 고구려에 처음 불교가 전래되었으며, 2년 후 374년에는 아도(阿道)가 들어와 불도를 전하했다.
소수림왕은 375년초문사(肖門寺)를 창건하여 순도를 머물게 하였으며, 또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창건하여 아도를 머물게 하는 등[4] 전진(前秦)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는 동시에 불교를 수용하고 보급하는 정책을 펼쳤고, 또한 불교를 호국사상으로 삼았다.
태학 설립과 율령 반포
귀족 자제들의 유학 교육기관으로 태학(太學)을 설립하여[5] 유교적 정치이념에 충실하고, 중앙집권적 정치제도에 적합한 관리를 양성하였으며, 373년에는 율령을 반포하여[6] 국가통치와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규범을 갖추었다. 소수림왕의 이와 같은 체제 정비 사업을 기반으로 고구려는 광개토대왕 시대에 들어 전성기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대외 관계
백제와의 평양성 전투에서 부왕 고국원왕을 잃은 소수림왕은 계속 백제와 충돌하였다. 375년(소수림왕 4년)에는 백제의 수곡성(水谷城)을 빼앗았으며,[7]376년(소수림왕 5년) 음력 11월에는 백제의 3만 대군을 물리치고 북변(北邊)을 역습하였다.[8]
377년(소수림왕 6년)에는 백제 근구수왕이 군사 3만명을 거느리고 평양성으로 재차 침공해 왔지만 막아내었고, 11월에 이를 보복하기 위해 남으로 백제를 정벌하였다.[9] (→여·제 전쟁) 378년(소수림왕 7년) 극심한 가뭄이 든 상태에서 거란의 침략을 받아 8개 부락을 빼앗기기도 했다.[10]
사망
384년(소수림왕 13년) 11월 사망하였다. 후사가 없이 서거하여 아우인 이련(伊連, 고국양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소수림(小獸林)에 묻혔으며 능묘에서 시호 소수림이 유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