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는 불교의 의식 중 하나로 살아 있는 동안(生前), 미리 닦는(豫修), 천도재(齋) 또는 49재라는 뜻이다.[1][2] 천도재가 망자를 위해 살아있는 사람들이 올려주는 수동적 성격을 갖는 다면, 생전예수재는 살아있는 사람 스스로가 자신을 위해 직접 올려주는 적극적 성격을 갖는 천도재이다.[3] 전생의 업장을 소멸시켜주어,[4] 현생을 편안하게 해준다고도 한다.
수륙재, 영산재와 더불어 우리나라 불교 3대 재회(齋會)의 하나다. 윤달이 드는 해에 사찰에서 지낸다.[5]
예수재(預修齋), 시왕생칠재(十王生七齋), 예수시왕재(預修十王齋), 생전시왕재(生前十王齋), 생전발원재(生前發源齋), 생재(生齋), 생칠재(生七齋), 예수대례(預修大禮), 예수무차회(預修無遮會)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6]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52호
2019년 4월 25일 서울특별시의 무형문화재 제52호로 지정되었다.[7]
지정 사유
<생전예수재>는 조선시대부터 우리 민족의 전통과 풍속으로 정착하였고, 서울의 대표적인 윤달 풍속이었다. 홍석모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윤달 풍속에 장안의 여인들이 줄지어 사찰에 찾아가 돈을 시주하는데 이 공덕으로 극락왕생한다고 믿는다." 하였다. 동국세시기의 내용은 서울지역 사찰에서 행해진 생전예수재를 직접 목격하고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7]
유교문화가 지배하던 조선시대에도 도성 주변의 사찰들은 불교의례의 명맥을 계승시켜왔다. 서울지역 사찰들은 이러한 역사적, 문화적 토대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생전예수재의 명맥을 유지하며 우리 전통문화의 세시풍속으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하였다.[7]
서울의 예수재는 의범에 맞도록 입재로부터 6재를 마치고 7재 때 본 예수재를 지냄으로써 전통적인 예수재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서울에서 행하던 대표적인 무형유산이라는 점에서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로 보전해야 할 가치가 충분하다.[7]
서울의 <생전예수재>는 단체를 통해 전승되는 무형유산이라는 점에서 보유자 없는 단체 종목으로 지정하고자 한다.[7]
생전예수재보존회
2019년 10월 10일 보유단체로 "사단법인 생전예수재보존회"가 인정 고시되었다.[8]
구분
|
성명 (생년월일)
|
성별
|
기예능
|
주소
|
인정·해제일자
|
비고
|
무형문화재(예능/단체)
|
사단법인 생전예수재보존회 (2017.6.24 설립)
|
|
제52호 생전예수재
|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
2019.10.10 인정
|
|
인정 사유
<생전예수재>는 조선시대부터 우리 민족의 전통과 풍속으로 정착하였고, 서울의 대표적인 윤달 풍속이었다. 홍석모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에 의하면, "윤달 풍속에 장안의 여인들이 줄지어 사찰에 찾아가 시주하는데 이 공덕으로 극락왕생한다고 믿는다." 하였다. 동국세시기의 내용은 서울지역 사찰에서 행해진 생전예수재를 직접 목격하고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8]
유교문화가 지배하던 조선시대에도 도성 주변의 사찰들은 불교의례의 명맥을 계승시켜왔으며 서울지역 사찰들은 이러한 역사적, 문화적 토대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생전예수재의 명맥을 유지하며 우리 전통문화의 세시풍속으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하였다.[8]
강남구 소재 '사단법인 생전예수재보존회'는 2017년 6월 24일 설립된 단체로서 생전예수재를 전형대로 전승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이 단체는 1997년 설립되어 다양한 불교 의례를 집전해오던 '불교어산작법학교'를 중심으로 오랜 기간 수련해온 스님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8]
이 단체의 그동안 활동을 살펴볼 때 불교의 공동체 집단에서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시켜 주는데 기여하고 있음이 확인된다.[8]
사단법인 생전예수재보존회에서 집전하는 생전예수재는 의범에 맞도록 입재로부터 6재를 마치고 7재 때 본재를 지냄으로써 전통적인 예수재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8]
또한 이들은 전수받은 내용을 단순하게 반복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태도를 가지고 수시로 연구발표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갖기도 하였다. 이러한 전승자세는 단순한 답습이 아니라 창의적 전승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사례라고 판단된다.[8]
서울의 <생전예수재>는 단체를 통해 전승되는 무형유산이라는 점에서 보유자 없는 단체 종목으로 지정하였으며 전문가 조사결과를 토대로 사단법인 생전예수재보존회를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제52호 생전예수재 예능보유단체로 인정하고자 한다.[8]
각주
- ↑ 허, 정철 (2020년 4월 20일). ““생전예수재, 살아생전 자신 위한 천도재””.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2월 22일에 확인함.
생전예수재는 말 그대로 ‘생전(生前)에 미리(豫) 닦는(修) 재(齋)’를 뜻하는데, 여기에 독특한 불교사상이 내재돼 있다..
- ↑ 이, 병철 (2017년 5월 11일). “죽어서 닦을 수 없는 공덕…살아서 짓는 생전예수재”. 《제주불교》. 제주불교. 2023년 12월 22일에 확인함.
다음 생의 복업을 미리 닦으려고 금생에 49재를 지내는 전통의식이다.
- ↑ 허, 정철 (2020년 4월 20일). ““생전예수재, 살아생전 자신 위한 천도재””.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2월 22일에 확인함.
“생전예수재, 살아생전 자신 위한 천도재”‘살아생전 자신을 위한 의식’이라는 독특한 성격을 가지며,
- ↑ 배, 지선 (2004년 4월 20일). “동화사 본말사 예수재 회향 "업장 소멸"”. 《현대불교신문》. 현대불교신문. 2023년 12월 22일에 확인함.
“생전예수재는 내가 지은 업을 내가 소멸하는 8만4천가지 방법 중 가장 좋은 방법으로 전생의 죄업을 소멸하게 하여, 청정한 마음과 신심으로 청복을 많이 짓도록 하는 신앙의 한방법”이라고 법문했다.
- ↑ 허, 정철 (2020년 4월 20일). ““생전예수재, 살아생전 자신 위한 천도재””.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2월 22일에 확인함.
윤달이 드는 해에 사찰에서 성대하게 설행되는 생전예수재는 한국불교의 대표적 재의식 중 하나다. 특히 생전예수재는 수륙재·영산재와 더불어 우리나라 불교 3대 재회(齋會)의 하나다.
- ↑ 금강스님, 금강스님 (2023년 1월 25일). “[기고] 생전예수재의 역사와 배경”.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2월 22일에 확인함.
생전예수재는 과거, 예수재(預修齋)·시왕생칠재(十王生七齋)·예수시왕재(預修十王齋)·생전시왕재(生前十王齋)·생전발원재(生前發源齋)·생재(生齋)·생칠재(生七齋)·예수대례(預修大禮)·예수무차회(預修無遮會) 등의 명칭으로 불려왔다.
- ↑ 가 나 다 라 마 서울특별시고시 제2019-134호, 《<생전예수제>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종목 지정 고시》, 서울특별시장, 2019-04-25, 참고: 고시 내용중 '생전예수제'는 오기로 확인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서울특별시고시 제2019-339호,《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보유단체 인정 고시》, 서울특별시장, 2019-10-10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