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피도박테리움 롱굼

유산균속
상피 조직 세포 속의 유산균
상피 조직 세포 속의 유산균
생물 분류ℹ️
역: 세균
문: 후벽균문
강: 간균강
목: 유산균목
과: 유산균과
속: 유산균속
본문 참조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Reuter 1963는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속의 한 종이다.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은 인간의 위장관에 존재하는 그람 양성 유산균이며, 카탈라아제 음성, 막대 모양의 세균 및 비피 도박 테 리움 속 (Bifidobacterium) 속에 속하는 32 종 중 하나이다.[1][2]


인체 내의 기능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 longum)은 사람의 위장관에 주요 서식지를 형성하며, 다른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종과 함께 유아의 위장관 박테리아 중 최대 90 %를 차지한다.[3][4] 2002년에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B. infantis, B. longum 및 B. suis이 발견되었을때, 이전에 별개의 종으로 판단되었던 3종은 각각 infantis, longum 및 suis라는 것이었으나, 이후 B. longum으로 명명된 단일 종으로 통합되었다. 이것은 3종의 DNA 유사성과 96s rRNA 유전자 서열 유사성이 97% 이상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5]

같이 보기

각주

  1. Schell, M. A.; Karmirantzou, M.; Snel, B.; Vilanova, D.; Berger, B.; Pessi, G.; Zwahlen, M. -C.; Desiere, F.; Bork, P.; Delley, M.; Pridmore, R. D.; Arigoni, F. (2002). “The genome sequence of Bifidobacterium longum reflects its adaptation to the human gastrointestinal trac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9 (22): 14422–14427. doi:10.1073/pnas.212527599. PMC 137899. PMID 12381787. 
  2. Garrido, D.; Ruiz-Moyano, S.; Jimenez-Espinoza, R.; Eom, H. J.; Block, D. E.; Mills, D. A. (2013). “Utilization of galactooligosaccharides by Bifidobacterium longum subsp. Infantis isolates”. 《Food Microbiology》 33 (2): 262–270. doi:10.1016/j.fm.2012.10.003. PMC 3593662. PMID 23200660. 
  3. Yuan, J.; Zhu, L.; Liu, X.; Li, T.; Zhang, Y.; Ying, T.; Wang, B.; Wang, J.; Dong, H.; Feng, E.; Li, Q.; Wang, J.; Wang, H.; Wei, K.; Zhang, X.; Huang, C.; Huang, P.; Huang, L.; Zeng, M.; Wang, H. (2006). “A Proteome Reference Map and Proteomic Analysis of Bifidobacterium longum NCC2705”. 《Molecular & Cellular Proteomics》 5 (6): 1105–1118. doi:10.1074/mcp.M500410-MCP200. PMID 16549425. 
  4. Xiao, J. Z.; Kondo, S.; Takahashi, N.; Miyaji, K.; Oshida, K.; Hiramatsu, A.; Iwatsuki, K.; Kokubo, S.; Hosono, A. (2003). “Effects of Milk Products Fermented by Bifidobacterium longum on Blood Lipids in Rats and Healthy Adult Male Volunteers”. 《Journal of Dairy Science》 86 (7): 2452–2461. doi:10.3168/jds.S0022-0302(03)73839-9. PMID 12906063. 
  5. Mattarelli, P.; Bonaparte, C.; Pot, B.; Biavati, B. (2008). “Proposal to reclassify the three biotypes of Bifidobacterium longum as three subspecies: Bifidobacterium longum subsp. Longum subsp. Nov., Bifidobacterium longum subsp. Infantis comb. Nov. And Bifidobacterium longum subsp. Suis comb. Nov”.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8 (4): 767–772. doi:10.1099/ijs.0.65319-0. PMID 18398167.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