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인(百濟人)은 고대 한반도의 백제에 거주하던 집단을 일컫는다.
역사
백제는 부여 계통의 예인(濊人) 지배층들의 중심으로 건국되어 건국되었다. 초기에는 부여 계통의 예인(濊人) 지배층들과 마한 계통의 토착민들로 구성되었지만 4세기 이후부터는 신라, 고구려, 왜, 및 중국 계통의 사람들이 백제의 지배층에 흡수되었다.[1]
660년 백제 멸망 이후 의자왕을 포함한 백제인들 몇몇이 당나라로 끌려가고 나머지는 한반도에 남거나 일본으로 귀화하였으며, 점차 현지 주류 집단들에게 동화되어 소멸하였다.
성씨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에 의하면 백제의 시조 온조(溫祚)가 부여계 사람이기에 성을 부여씨(夫餘氏)로 했다고 한다.
그 외에 사(沙), 연(燕), 협(劦), 해(解), 진(眞), 국(國), 목(木), 백(苩), 왕(王), 장(張), 사마(司馬), 수미(首彌), 고이(古爾), 흑치(黑齒), 귀실(鬼室) 등 10여 개가 확인되었다.[2]이들은 본래 복성(複姓)이 많았지만 중국에서 부여씨(扶餘氏)를 여씨(餘氏)로 표기했듯이 사씨는 사택(沙宅·沙吒)씨, 협씨와 목씨는 목협(木劦)씨, 국씨는 고이(古爾)씨, 연씨는 연비(燕比)씨, 진씨는 진모(眞牟), 조미(祖彌), 저미(姐彌) 등 다양하게 표기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3]
이 중 8개의 큰 성씨인 백제 후기의 대표적인 8개의 귀족 가문 대성팔족이 존재했다.
특징
7세기 경에 쓰인 중국 《양서》(梁書)의 동이열전(東夷列傳)에서는 백제인에 대해 “백제인의 키는 크며 의복은 깨끗하다. 그 나라 가까이에 왜가 있어서 문신한 사람들도 꽤 있다. 지금의 언어와 복장은 고려(고구려)와 거의 같지만 걸을 때 두 팔을 벌리지 않는 것과 절할 때 한 쪽 다리를 펴지 않는 것은 다르다.”고 기록했다[4]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