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상대성 이론 에서 믹스마스터 우주 (Mixmaster宇宙, 영어 : Mixmaster universe )는 SU(2) 대칭을 갖는, 아인슈타인 방정식 의 진공해이다.[ 1] [ 2] 이는 혼돈적 성질을 보인다.
정의
가설 풀이
믹스마스터 우주 는 위상 공간으로서
M
=
S
3
× × -->
R
{\displaystyle M=\mathbb {S} ^{3}\times \mathbb {R} }
이다. 여기서 3차원 초구
S
3
{\displaystyle \mathbb {S} ^{3}}
는 공간 방향이며,
R
{\displaystyle \mathbb {R} }
는 시간 방향이다.
S
3
{\displaystyle \mathbb {S} ^{3}}
위에 표준적인 구면 좌표계
(
θ θ -->
,
ψ ψ -->
,
ϕ ϕ -->
)
{\displaystyle (\theta ,\psi ,\phi )}
를 주자.
초구
S
3
{\displaystyle \mathbb {S} ^{3}}
위의 세 1차 미분 형식
σ σ -->
1
=
sin
-->
ψ ψ -->
d
θ θ -->
− − -->
cos
-->
ψ ψ -->
sin
-->
θ θ -->
d
ϕ ϕ -->
{\displaystyle \sigma _{1}=\sin \psi \mathrm {d} \theta -\cos \psi \sin \theta \mathrm {d} \phi }
σ σ -->
2
=
cos
-->
ψ ψ -->
θ θ -->
+
sin
-->
ψ ψ -->
sin
-->
θ θ -->
d
ϕ ϕ -->
{\displaystyle \sigma _{2}=\cos \psi \mathrm {\theta } +\sin \psi \sin \theta \mathrm {d} \phi }
σ σ -->
3
=
− − -->
d
ψ ψ -->
− − -->
cos
-->
θ θ -->
d
ϕ ϕ -->
{\displaystyle \sigma _{3}=-\mathrm {d} \psi -\cos \theta \mathrm {d} \phi }
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는
d
σ σ -->
i
=
1
2
ϵ ϵ -->
i
j
k
σ σ -->
j
∧ ∧ -->
σ σ -->
k
{\displaystyle \mathrm {d} \sigma _{i}={\frac {1}{2}}\epsilon _{ijk}\sigma _{j}\wedge \sigma _{k}}
를 만족시킨다.
이제,
M
{\displaystyle M}
위의 다음과 같은 (부호수 −+++의) 리만 계량 가설 풀이 를 생각하자.
d
s
2
=
− − -->
d
t
2
+
∑ ∑ -->
i
=
1
3
(
L
i
(
t
)
)
2
σ σ -->
i
2
{\displaystyle \mathrm {d} s^{2}=-\mathrm {d} t^{2}+\sum _{i=1}^{3}\left(L_{i}(t)\right)^{2}\sigma _{i}^{2}}
이 가설 풀이 는 비안키 분류 Ⅸ형의 일반형이며,
S
4
{\displaystyle \mathbb {S} ^{4}}
의
SO
-->
(
4
)
≅ ≅ -->
(
SU
-->
(
2
)
× × -->
SU
-->
(
2
)
)
/
(
Z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4)\cong (\operatorname {SU} (2)\times \operatorname {SU} (2))/(\mathbb {Z} /2)}
대칭 가운데 하나의
SU
-->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2)}
만을 보존한다. 이 가설 풀이 는 세 개의 미지의 함수
L
1
(
t
)
,
L
2
(
t
)
,
L
3
(
t
)
{\displaystyle L_{1}(t),L_{2}(t),L_{3}(t)}
를 갖는다. 이들은 편의상 우주의 팽창을 나타내는 함수 (
L
i
{\displaystyle L_{i}}
의 자연 로그 의 산술 평균 × −1)
Ω Ω -->
(
t
)
=
− − -->
1
3
(
ln
-->
L
1
(
t
)
+
ln
-->
L
2
(
t
)
+
ln
-->
L
3
(
t
)
)
{\displaystyle \Omega (t)=-{\frac {1}{3}}\left(\ln L_{1}(t)+\ln L_{2}(t)+\ln L_{3}(t)\right)}
와 우주의 비등방성을 나타내는 두 함수
β β -->
+
(
t
)
=
Ω Ω -->
(
t
)
− − -->
ln
-->
(
L
3
(
t
)
)
{\displaystyle \beta _{+}(t)=\Omega (t)-\ln(L_{3}(t))}
β β -->
− − -->
(
t
)
=
1
3
ln
-->
L
1
(
t
)
L
2
(
t
)
{\displaystyle \beta _{-}(t)={\frac {1}{\sqrt {3}}}\ln {\frac {L_{1}(t)}{L_{2}(t)}}}
로 다시 쓸 수 있다.
Ω Ω -->
{\displaystyle \Omega }
는 대략 우주의 너비의 로그 ×−1에 해당하며,
Ω Ω -->
{\displaystyle \Omega }
가 더 클 수록 우주의 부피가 더 작다 (즉, 빅뱅 은
Ω Ω -->
→ → -->
∞ ∞ -->
{\displaystyle \Omega \to \infty }
극한이다). 마찬가지로,
β β -->
± ± -->
{\displaystyle \beta _{\pm }}
가 (양 또는 음으로) 0에서 더 멀 수록 우주는 더 일그러진 모양을 한다. 만약
β β -->
+
=
β β -->
− − -->
=
0
{\displaystyle \beta _{+}=\beta _{-}=0}
인 경우 (등방적 우주) 이는 프리드만-르메트르-로버트슨-워커 계량 이 된다.
동역학
이제, 아인슈타인 방정식 을
Ω Ω -->
(
t
)
{\displaystyle \Omega (t)}
와
β β -->
± ± -->
(
t
)
{\displaystyle \beta _{\pm }(t)}
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사실, 일단
β β -->
± ± -->
{\displaystyle \beta _{\pm }}
(우주의 모양)을
Ω Ω -->
(
t
)
{\displaystyle \Omega (t)}
(우주의 크기)의 함수로 우선 풀 수 있다. 편의상 에너지-운동량 텐서 와 우주 상수 가 0이라고 가정하자 (즉, 리치 곡률 이 0이라고 하자).
이제,
Ω Ω -->
→ → -->
+
∞ ∞ -->
{\displaystyle \Omega \to +\infty }
극한(빅뱅 근처)에서, 아인슈타인 방정식 은 다음과 같은 두 방정식이 된다.[ 1] :1072, (5), (6)
4
=
(
d
β β -->
+
d
Ω Ω -->
)
2
+
(
d
β β -->
− − -->
d
Ω Ω -->
)
2
+
4
Λ Λ -->
(
t
)
− − -->
1
exp
-->
(
− − -->
4
Ω Ω -->
(
t
)
)
V
(
β β -->
+
,
β β -->
− − -->
)
{\displaystyle 4=\left({\frac {\mathrm {d} \beta _{+}}{\mathrm {d} \Omega }}\right)^{2}+\left({\frac {\mathrm {d} \beta _{-}}{\mathrm {d} \Omega }}\right)^{2}+4\Lambda (t)^{-1}\exp(-4\Omega (t))V(\beta _{+},\beta _{-})}
d
Λ Λ -->
d
Ω Ω -->
=
− − -->
4
Λ Λ -->
− − -->
1
exp
-->
(
− − -->
4
Ω Ω -->
(
t
)
)
V
(
β β -->
+
,
β β -->
− − -->
)
{\displaystyle {\frac {\mathrm {d} \Lambda }{\mathrm {d} \Omega }}=-4\Lambda ^{-1}\exp(-4\Omega (t))V(\beta _{+},\beta _{-})}
(첫째 식에 의하여
Λ Λ -->
(
t
)
{\displaystyle \Lambda (t)}
를 정의할 수 있다.) 둘째 식에 의하여,
Λ Λ -->
{\displaystyle \Lambda }
는
Ω Ω -->
≫ ≫ -->
1
{\displaystyle \Omega \gg 1}
일 때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즉, 이 경우
Ω Ω -->
{\displaystyle \Omega }
를 일종의 "시간"으로 간주하고,
β β -->
→ → -->
=
(
β β -->
+
,
β β -->
− − -->
)
{\displaystyle {\vec {\beta }}=(\beta _{+},\beta _{-})}
를 일종의 "위치"로 간주한다면, 이는 시간 의존 라그랑지언 [ 1] :1072, (7)
L
(
β β -->
+
,
β β -->
− − -->
;
Ω Ω -->
)
=
1
2
Λ Λ -->
(
Ω Ω -->
)
β β -->
˙ ˙ -->
2
− − -->
2
V
(
β β -->
+
,
β β -->
− − -->
)
Λ Λ -->
(
Ω Ω -->
)
exp
-->
(
4
Ω Ω -->
)
{\displaystyle L(\beta _{+},\beta _{-};\Omega )={\frac {1}{2}}{\sqrt {\Lambda (\Omega )}}{\dot {\boldsymbol {\beta }}}^{2}-{\frac {2V(\beta _{+},\beta _{-})}{{\sqrt {\Lambda (\Omega )}}\exp(4\Omega )}}}
에 의하여 묘사된다. (이 라그랑지언에서
Λ Λ -->
{\displaystyle \Lambda }
는 오직
Ω Ω -->
{\displaystyle \Omega }
만의 함수로 간주한다.)
여기서 퍼텐셜
V
(
β β -->
)
{\displaystyle V(\beta )}
는 다음과 같다.[ 1] :1072, (8)
V
(
β β -->
+
,
β β -->
− − -->
)
=
1
+
1
3
exp
-->
(
− − -->
4
β β -->
+
)
− − -->
4
3
exp
-->
(
− − -->
β β -->
+
)
cosh
-->
(
3
β β -->
− − -->
)
+
2
3
exp
-->
(
2
β β -->
+
)
(
cosh
-->
(
2
3
β β -->
− − -->
)
− − -->
1
)
{\displaystyle V(\beta _{+},\beta _{-})=1+{\frac {1}{3}}\exp(-4\beta _{+})-{\frac {4}{3}}\exp(-\beta _{+})\cosh({\sqrt {3}}\beta _{-})+{\frac {2}{3}}\exp(2\beta _{+})\left(\cosh \left(2{\sqrt {3}}\beta _{-}\right)-1\right)}
이 퍼텐셜의 벽은 매우 가파르게 증가한다. 시간 의존 "질량"에 해당하는
Λ Λ -->
(
Ω Ω -->
)
2
{\displaystyle \Lambda (\Omega )^{2}}
가 우주 초기(
Ω Ω -->
≫ ≫ -->
1
{\displaystyle \Omega \gg 1}
)에는 매우 천천히 변한다. 따라서, 믹스마스터 우주의 빅뱅 근처에서의 시간 변화는 대략 일종의 "당구대" 위의 "당구공"의 운동으로 근사되는데, 이러한 동역학계 는 혼돈적 현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유이다.
성질
믹스마스터 우주가 혼돈적 이라는 것은 1996년에 엄밀히 증명되었다.[ 3] [ 4]
믹스마스터 퍼텐셜
믹스마스터 우주의 퍼텐셜
V
(
β β -->
+
,
β β -->
− − -->
)
=
1
+
1
3
exp
-->
(
− − -->
4
β β -->
+
)
− − -->
4
3
exp
-->
(
− − -->
β β -->
+
)
cosh
-->
(
3
β β -->
− − -->
)
+
2
3
exp
-->
(
2
β β -->
+
)
(
cosh
-->
(
2
3
β β -->
− − -->
)
− − -->
1
)
{\displaystyle V(\beta _{+},\beta _{-})=1+{\frac {1}{3}}\exp(-4\beta _{+})-{\frac {4}{3}}\exp(-\beta _{+})\cosh({\sqrt {3}}\beta _{-})+{\frac {2}{3}}\exp(2\beta _{+})\left(\cosh \left(2{\sqrt {3}}\beta _{-}\right)-1\right)}
는 항상 임의의
(
β β -->
+
,
β β -->
− − -->
)
∈ ∈ -->
R
2
{\displaystyle (\beta _{+},\beta _{-})\in \mathbb {R} ^{2}}
에 대하여
V
≥ ≥ -->
0
{\displaystyle V\geq 0}
을 만족시키며, 원점에서
V
(
0
,
0
)
=
0
{\displaystyle V(0,0)=0}
이 성립한다.
원점 근처에서의 매클로린 급수 는 다음과 같다.
V
(
β β -->
+
,
β β -->
− − -->
)
=
2
β β -->
+
2
+
2
β β -->
− − -->
2
+
O
(
β β -->
+
β β -->
− − -->
2
)
+
O
(
β β -->
− − -->
4
)
{\displaystyle V(\beta _{+},\beta _{-})=2\beta _{+}^{2}+2\beta _{-}^{2}+O(\beta _{+}\beta _{-}^{2})+O(\beta _{-}^{4})}
이 퍼텐셜은
β β -->
− − -->
↦ ↦ -->
− − -->
β β -->
− − -->
{\displaystyle \beta _{-}\mapsto -\beta _{-}}
대칭을 가지며, 그 "바닥"은 대략
β β -->
+
{\displaystyle \beta _{+}}
축을 대칭축으로 하고, 원점(
β β -->
+
=
β β -->
− − -->
=
0
{\displaystyle \beta _{+}=\beta _{-}=0}
)을 중심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 의 모양을 한다.
이 이등변 삼각형의 각 "꼭짓점"은 사실 무한히 계속되는 "골짜기"의 모양을 하며, 이들의 위치는 각각 다음과 같다.
1
≪ ≪ -->
β β -->
+
{\displaystyle 1\ll \beta _{+}}
|
β β -->
− − -->
|
− − -->
1
≫ ≫ -->
exp
-->
(
β β -->
+
)
{\displaystyle |\beta _{-}|^{-1}\gg \exp(\beta _{+})}
. 이 경우, 퍼텐셜은 다음과 같다.
V
=
1
+
4
exp
-->
(
2
β β -->
+
)
β β -->
− − -->
2
+
O
(
exp
-->
(
2
β β -->
+
)
β β -->
− − -->
4
)
+
O
(
exp
-->
(
− − -->
β β -->
+
)
)
{\displaystyle V=1+4\exp(2\beta _{+})\beta _{-}^{2}+O\left(\exp(2\beta _{+})\beta _{-}^{4}\right)+O\left(\exp(-\beta _{+})\right)}
1
≪ ≪ -->
− − -->
β β -->
+
{\displaystyle 1\ll -\beta _{+}}
,
β β -->
− − -->
≈ ≈ -->
± ± -->
3
β β -->
+
{\displaystyle \beta _{-}\approx \pm {\sqrt {3}}\beta _{+}}
. 이 경우, 퍼텐셜은 다음과 같다. 편의상
β β -->
− − -->
=
± ± -->
3
β β -->
+
∓ ∓ -->
(
ln
-->
a
)
/
3
{\displaystyle \beta _{-}=\pm {\sqrt {3}}\beta _{+}\mp (\ln a)/{\sqrt {3}}}
로 놓자.
V
=
1
+
1
3
exp
-->
(
− − -->
4
β β -->
+
)
(
1
− − -->
a
)
2
+
O
(
exp
-->
(
2
β β -->
+
)
)
{\displaystyle V=1+{\frac {1}{3}}\exp(-4\beta _{+})(1-a)^{2}+O\left(\exp(2\beta _{+})\right)}
역사
미스너 (2009년 사진)
믹스마스터 브랜드 믹서 (1969년~1972년 경 생산)
찰스 윌리엄 미스너 (영어 : Charles William Misner , 1932~)가 1969년에 도입하였다.[ 1] "믹스마스터"라는 이름은 미국의 가전 제품 회사 선빔프로덕츠(영어 : Sunbeam Products , 舊名 시카고 유연 샤프트 회사 영어 : Chicago Flexible Shaft Company )가 1930년부터 생산하기 시작한 믹서 브랜드 믹스마스터(영어 : Mixmaster , 혼합mix 믹스[* ] 의 달인master 마스터[* ] )에서 딴 것이다.
미스너는 이 모형을 원래 우주론 의 지평선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하였다. 빅뱅 초기의 우주가 마치 "믹서 "로 뒤섞은 듯한 혼돈적인 현상을 보인다면, 우주가 광역에 걸쳐 등방적인 것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 우주의 모형으로서, 믹스마스터 우주는 급팽창 이론 으로 대체되었다.[ 2]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