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켈 곁주머니 [ 1] (Meckel's diverticulum ) 또는 메켈 게실 은 선천성 게실 의 하나로, 출생 시 소장 의 살짝 튀어나온 부분이자 난황관 이다.
위장관 의 가장 흔한 기형으로, 총 인구 가운데 약 2%에서 발생하며[ 2] 증상은 남성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
메켈 게실은 16세기에 빌헬름 파브리 가 처음 설명하였으며 나중에 1809년 이러한 형태의 게실증의 발생학적 기원을 기술한 요한 메켈 의 이름을 따서 병명이 지어졌다.[ 3] [ 4]
증상
메켈 게실이 있는 사람들 대부분이 무증상 이다. 무증상 메켈 게실은 조용한 메켈 게실(silent Meckel's diverticulum)[ 5] 로 불린다. 만일 증상이 발생한다면 2세 이전에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다.
가장 흔히 보이는 증상은 흑변 과 같은 무통 직장 출혈 이며, 그 뒤로 장폐색 , 창자꼬임 , 장관중첩 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부의 경우, 경고 없이 출혈이 발생하며 자연스럽게 멈출 수 있다. 증상은 극히 고통적일 수 있는데, 밥을 먹지 않거나 변비로 인해 온 복통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병리생리학
메켈 게실 수술 적출물.
메켈 게실은 2의 법칙을 따른다:[ 6]
총 인구 중 2% 에서 발병한다.
2 피트 (회맹판 쪽으로)
2 인치 (길이)
2 종류의 공통 이소성 조직 (위, 췌장)
2 세 때가 임상적으로 흔히 보이는 나이대이다.
2:1 남성:여성 비율
치료
치료는 수술을 통해 진행되며, 복강경 절제를 추가로 수반할 가능성이 있다.[ 7]
합병증
표 1 – 메켈 곁주머니의 합병증:[ 8]
합병증
증상이 있는 메켈 게실의 백분율 (%)
출혈
20–30
장폐색
20–25
곁주머니염
10–20
배꼽 기형
≤10
신생물
0.5-2
같이 보기
각주
↑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Meckel%27s+diverticulum&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 Elsayes KM, Menias CO, Harvin HJ, Francis IR (July 2007). “Imaging manifestations of Meckel's diverticulum” . 《AJR Am J Roentgenol》 189 (1): 81–8. doi :10.2214/AJR.06.1257 . PMID 17579156 .
↑ Meckel's diverticulum - Who Named It?
↑ J. F. Meckel. Über die Divertikel am Darmkanal. Archiv für die Physiologie, Halle, 1809, 9: 421–453.
↑ Thurley PD, Halliday KE, Somers JM, Al-Daraji WI, Ilyas M, Broderick NJ (February 2009). “Radiological features of Meckel's diverticulum and its complications” . 《Clin Radiol》 64 (2): 109–18. doi :10.1016/j.crad.2008.07.012 . PMID 19103339 .
↑ F. Charles Brunicardi, Dana K. Anderson, Timothy R. Billiar, et al. Small Intestine. In: Ali Tavakkoli, Stanley W. Ashley, Michael J. Zinner: Schwartz's Principles of Surgery. 10 ed. United states: McGraw-Hill;2015
↑ Mattei, P. (2011). Fundamentals of Pediatric Surgery. New York, N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LLC.
↑ Johnston A. O.; Moore T. (1976). “Complications of Meckel's diverticulum ”. 《British Journal of Surgery Society Ltd.》 63 (6): 453–454. doi :10.1002/bjs.1800630612 .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