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군론 에서 리 지수 사상 (指數寫像, 영어 : Lie exponential map )은 어떤 리 군을 공역 으로 하고, 그 리 대수 를 정의역 으로 하는 특별한 함수이다. 행렬군의 경우 이는 행렬의 지수 함수와 같다.
정의
(유한 차원) 리 군
G
{\displaystyle G}
의 리 대수
Lie
-->
(
G
)
=
T
1
G
=
g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 (G)=\mathrm {T} _{1}G={\mathfrak {g}}}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x
∈ ∈ -->
g
{\displaystyle x\in {\mathfrak {g}}}
에 대하여,
γ γ -->
x
: : -->
R
→ → -->
G
{\displaystyle \gamma _{x}\colon \mathbb {R} \to G}
γ γ -->
x
(
0
)
=
1
{\displaystyle \gamma _{x}(0)=1}
γ γ -->
˙ ˙ -->
x
(
0
)
=
x
∈ ∈ -->
T
1
G
=
g
{\displaystyle {\dot {\gamma }}_{x}(0)=x\in \mathrm {T} _{1}G={\mathfrak {g}}}
가 되는 매끄러운 함수 인 군 준동형 이 유일하게 존재함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G
{\displaystyle G}
의 리 지수 사상 은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exp
G
: : -->
g
→ → -->
G
{\displaystyle \exp _{G}\colon {\mathfrak {g}}\to G}
exp
G
: : -->
x
↦ ↦ -->
γ γ -->
x
(
1
)
{\displaystyle \exp _{G}\colon x\mapsto \gamma _{x}(1)}
구체적 정의
리 군
G
{\displaystyle G}
가 다음과 같이 행렬군의 부분군이라고 하자.
G
↪ ↪ -->
GL
-->
(
n
;
R
)
{\displaystyle G\hookrightarrow \operatorname {GL} (n;\mathbb {R} )}
즉,
G
{\displaystyle G}
가 충실한
n
{\displaystyle n}
차원 실수 표현을 갖는다고 하자.
그렇다면,
G
{\displaystyle G}
의 리 대수
Lie
-->
(
G
)
=
g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 (G)={\mathfrak {g}}}
역시 실수 표현
g
↪ ↪ -->
g
l
(
n
;
R
)
{\displaystyle {\mathfrak {g}}\hookrightarrow {\mathfrak {gl}}(n;\mathbb {R} )}
을 갖는다.
이 경우,
G
{\displaystyle G}
의 리 지수 사상은 행렬 지수 함수 와 같다.
exp
G
: : -->
g
→ → -->
G
{\displaystyle \exp _{G}\colon {\mathfrak {g}}\to G}
exp
G
: : -->
x
↦ ↦ -->
∑ ∑ -->
k
=
0
∞ ∞ -->
1
k
!
x
n
=
1
+
x
+
1
2
x
2
+
⋯ ⋯ -->
{\displaystyle \exp _{G}\colon x\mapsto \sum _{k=0}^{\infty }{\frac {1}{k!}}x^{n}=1+x+{\frac {1}{2}}x^{2}+\dotsb }
성질
리 지수 사상은 매끄러운 함수 이며, 그 치역 은 리 군
G
{\displaystyle G}
의 항등원을 포함하는 연결 성분
G
1
{\displaystyle G_{1}}
의 부분 집합이다.
exp
G
: : -->
g
→ → -->
G
1
{\displaystyle \exp _{G}\colon {\mathfrak {g}}\to G_{1}}
항등식
리 지수 사상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exp
-->
(
(
s
+
t
)
x
)
=
exp
-->
(
s
x
)
exp
-->
(
t
x
)
(
s
,
t
∈ ∈ -->
R
,
x
∈ ∈ -->
g
)
{\displaystyle \exp((s+t)x)=\exp(sx)\exp(tx)\qquad (s,t\in \mathbb {R} ,\;x\in {\mathfrak {g}})}
exp
-->
(
− − -->
x
)
=
exp
-->
(
x
)
− − -->
1
(
x
∈ ∈ -->
g
)
{\displaystyle \exp(-x)=\exp(x)^{-1}\qquad (x\in {\mathfrak {g}})}
exp
-->
(
x
+
y
)
=
exp
-->
(
x
)
exp
-->
(
y
)
(
x
,
y
∈ ∈ -->
g
,
[
x
,
y
]
=
0
)
{\displaystyle \exp(x+y)=\exp(x)\exp(y)\qquad (x,y\in {\mathfrak {g}},\;[x,y]=0)}
또한, 리 군의 스스로의 리 대수 위의 딸림표현
Ad
: : -->
G
× × -->
g
→ → -->
g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colon G\times {\mathfrak {g}}\to {\mathfrak {g}}}
Ad
: : -->
(
g
,
x
)
↦ ↦ -->
Ad
g
-->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colon (g,x)\mapsto \operatorname {Ad} _{g}(x)}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d
exp
-->
x
-->
(
y
)
=
∑ ∑ -->
k
=
0
∞ ∞ -->
1
k
!
ad
x
k
-->
(
y
)
=
y
+
[
x
,
y
]
+
1
2
[
x
,
[
x
,
y
]
]
+
1
6
[
x
,
[
x
,
[
x
,
y
]
]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_{\exp x}(y)=\sum _{k=0}^{\infty }{\frac {1}{k!}}\operatorname {ad} _{x}^{k}(y)=y+[x,y]+{\frac {1}{2}}[x,[x,y]]+{\frac {1}{6}}[x,[x,[x,y]]]+\dotsb }
함자성
리 지수 함수는 유한 차원 실수 리 대수의 범주
fdLie
R
{\displaystyle \operatorname {fdLie} _{\mathbb {R} }}
에서,
두 리 군 사이의 매끄러운 군 준동형
f
: : -->
G
→ → -->
H
{\displaystyle f\colon G\to H}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리 대수 사이의 준동형
f
∗ ∗ -->
: : -->
Lie
-->
(
G
)
→ → -->
Lie
-->
(
H
)
{\displaystyle f_{*}\colon \operatorname {Lie} (G)\to \operatorname {Lie} (H)}
를 유도한다. 그렇다면, 지수 함수는 다음 그림을 가환 그림으로 만든다. 즉, 리 지수 함수는 함자성 을 갖는다.
Lie
-->
(
G
)
→ → -->
f
∗ ∗ -->
Lie
-->
(
H
)
exp
↓ ↓ -->
exp
exp
↓ ↓ -->
exp
G
→ → -->
f
H
{\displaystyle {\begin{matrix}\operatorname {Lie} (G)&{\overset {f_{*}}{\to }}&\operatorname {Lie} (H)\\{\scriptstyle \exp }\downarrow {\color {White}\scriptstyle \exp }&&{\color {White}\scriptstyle \exp }\downarrow {\scriptstyle \exp }\\G&{\underset {f}{\to }}&H\end{matrix}}}
전사성
리 군
G
{\displaystyle G}
가 만약 다음 세 조건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시킨다면, 그 리 지수 사상은 전사 함수 이다.
G
{\displaystyle G}
는 연결 공간 이며 콤팩트 공간 이다.
G
{\displaystyle G}
는 연결 공간 이며 멱영군 이다.
G
{\displaystyle G}
는
GL
-->
(
n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n;\mathbb {C} )}
의, 이산군에 대한 몫군이다.
예
아벨 리 군
G
=
R
n
{\displaystyle G=\mathbb {R} ^{n}}
이 아벨 리 군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그 리 지수 사상은 다음과 같다.
g
=
R
n
{\displaystyle {\mathfrak {g}}=\mathbb {R} ^{n}}
exp
G
: : -->
g
→ → -->
G
{\displaystyle \exp _{G}\colon {\mathfrak {g}}\to G}
exp
G
: : -->
(
x
1
,
… … -->
,
x
n
)
↦ ↦ -->
(
exp
-->
x
1
,
… … -->
,
exp
-->
x
n
)
{\displaystyle \exp _{G}\colon (x_{1},\dotsc ,x_{n})\mapsto (\exp x_{1},\dotsc ,\exp x_{n})}
마찬가지로,
G
=
U
-->
(
1
)
=
{
z
∈ ∈ -->
C
: : -->
|
z
|
=
1
}
{\displaystyle G=\operatorname {U} (1)=\{z\in \mathbb {C} \colon |z|=1\}}
가 아벨 리 군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리 지수 사상은 다음과 같다.
g
=
i
R
{\displaystyle {\mathfrak {g}}=\mathrm {i} \mathbb {R} }
exp
G
: : -->
g
→ → -->
G
{\displaystyle \exp _{G}\colon {\mathfrak {g}}\to G}
exp
G
: : -->
i
θ θ -->
↦ ↦ -->
exp
-->
(
i
θ θ -->
)
{\displaystyle \exp _{G}\colon \mathrm {i} \theta \mapsto \exp(\mathrm {i} \theta )}
SU(2)
SU(2)는 절댓값 이 1인 사원수 의 리 군 과 동형이다.
SU
-->
(
2
)
=
{
q
∈ ∈ -->
H
: : -->
|
q
|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2)=\{q\in \mathbb {H} \colon |q|=1\}}
이 경우, 그 리 대수 는 순수 허수 성분만을 갖는 사원수 의 실수 벡터 공간 이다.
s
u
(
2
)
=
i
R
+
j
R
+
k
R
=
{
a
i
+
b
j
+
c
k
: : -->
a
,
b
,
c
∈ ∈ -->
R
}
=
{
q
∈ ∈ -->
H
: : -->
q
¯ ¯ -->
=
− − -->
q
}
{\displaystyle {\mathfrak {su}}(2)=\mathrm {i} \mathbb {R} +\mathrm {j} \mathbb {R} +\mathrm {k} \mathbb {R} =\{a\mathrm {i} +b\mathrm {j} +c\mathrm {k} \colon a,b,c\in \mathbb {R} \}=\{q\in \mathbb {H} \colon {\bar {q}}=-q\}}
이 경우, 리 지수 함수는 사원수의 지수 함수와 같다.
exp
-->
(
q
)
=
{
cos
-->
|
q
|
+
q
sin
-->
|
q
|
|
q
|
q
≠ ≠ -->
0
1
q
=
0
{\displaystyle \exp(q)={\begin{cases}\cos |q|+{\frac {q\sin |q|}{|q|}}&q\neq 0\\1&q=0\end{cases}}}
SL(2;ℝ)
리 군
SL
-->
(
2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L} (2;\mathbb {R} )}
의 리 지수 사상은 전사 함수 가 아니다. 그 치역 은 다음 조건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2×2 실수 행렬들로 구성된다.[ 1] :Exercise 3.22
복소수체 에서 대각화가 가능하며, 그 고윳값 은 모두 실수이다.
복소수체 에서 대각화가 가능하며, 그 고윳값 은 모두 절댓값 이 1인 복소수이다.
고윳값 1이 중복해서 등장한다.
diag
-->
(
− − -->
1
,
− −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1,-1)}
이다.
특히, 예를 들어
diag
-->
(
− − -->
1
,
− − -->
2
)
∈ ∈ -->
SL
-->
(
2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1,-2)\in \operatorname {SL} (2;\mathbb {R} )}
는 리 지수 사상의 치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같이 보기
각주
↑ Hall, Brian C. (2015). 《Lie Groups, Lie Algebras, and Representations: An Elementary Introduction》.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222 2판. Springer-Verlag. ISBN 978-3319134666 .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