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식 혈액형은 사람의 혈액형 중 하나이다. ABO식 혈액형 다음으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혈액형으로 취급하고 있다. D, C, c, E, e 5가지 항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 중에서 Rh+ 혈액형과 Rh- 혈액형 구분은 D항원 유무로 구분한다.
발견
1940년 카를 란트슈타이너가 붉은털원숭이(Maccacus rhesus)의 적혈구를 토끼나 기니피그에 주사하였더니 항체가 생산되고 이 면역혈청과 원숭이의 적혈구를 다시 반응시키면 응집이 생기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실험에 사용한 원숭이의 속명인 "rhesus"의 첫머리 글자를 따서 Rh로 명명하였다. 이 때 발견된 것은 훗날에 Rh 항원 중 D 항원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후 C, c, E, e 등의 항원도 발견되었으며 현재 50가지 이상의 항원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Rh식 혈액형 명명법
일반적으로는 D 항원의 유무에 따라 D항원을 가지고 있으면 "Rh+", D항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Rh-"로만 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Rh식 혈액형은 명명법에 따라 8가지에서 50가지까지 표현할 수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명법은 Fisher-Race법과 Wiener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명명법을 이용해 Rh식 혈액형의 모든 항원을 표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1962년에 Rosenfild 등은 Rh식 혈액형 항원에 숫자를 부여하는 명명법을 제시하였는데, 이 방법은 Rh 주요 항원인 D항원은 Rh1, C항원은 Rh2, E항원은 Rh3, c항원은 Rh4, e항원은 Rh5로 정의하고 나머지 항원에 대해 숫자를 붙여 부여하는 방법이다. 그 외에 국제수혈국제학회(ISBT)에서는 공통적인 Rh 항원을 표현할 용어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숫자를 이용한 용어를 제정하였는데, 이 방법은 5자리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통 004XX형식으로 표현한다. 이 때 앞 세자리 수 "004"는 Rh식 혈액형임을 나타내는 것이고 뒤 두자리 수는 각 Rh식 혈액형 계통의 항원에 숫자를 부여한 것이다.
각 경우로 하여 Rh식 혈액형을 명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명명법 별 Rh식 혈액형
ISBT 번호
|
Rosenfild법
|
Fisher-Race법
|
Wiener법
|
비고
|
00401 |
Rh1 |
D |
Rh0 |
|
00402 |
Rh2 |
C |
rh' |
|
00403 |
Rh3 |
E |
rh |
|
00404 |
Rh4 |
c |
hr' |
|
00405 |
Rh5 |
e |
hr |
|
00406 |
Rh6 |
ce |
hr |
f
|
00407 |
Rh7 |
Ce |
rhi |
|
00408 |
Rh8 |
Cw |
rhw1 |
|
00409 |
Rh9 |
Cx |
rhx |
|
00410 |
Rh10 |
ces |
hrv |
V
|
00411 |
Rh11 |
Ew |
rhw2 |
|
00412 |
Rh12 |
G |
rhG |
|
00413 |
Rh13 |
|
RhA |
|
00414 |
Rh14 |
|
RhB |
|
00415 |
Rh15 |
|
RhC |
|
00416 |
Rh16 |
|
RhD |
|
00417 |
Rh17 |
|
Hr0 |
|
00418 |
Rh18 |
|
Hr |
|
00419 |
Rh19 |
|
hrs |
|
00420 |
Rh20 |
es |
|
VS
|
00421 |
Rh21 |
CG |
|
|
00422 |
Rh22 |
CE |
rh |
Jarvis
|
00423 |
Rh23 |
Dw |
|
Wiel
|
00424 |
Rh24 |
ET |
|
|
00425 |
Rh25 |
|
|
|
00426 |
Rh26 |
c-like |
|
Deal
|
00427 |
Rh27 |
cE |
rhii |
|
00428 |
Rh28 |
|
hrH |
Hernandez
|
00429 |
Rh29 |
|
|
total Rh
|
00430 |
Rh30 |
Dcor |
|
Goa
|
00431 |
Rh31 |
|
HrB |
|
00432 |
Rh32 |
|
RN |
troll
|
00433 |
Rh33 |
|
ROHar |
Hill
|
00434 |
Rh34 |
|
HrB |
Bastiaan
|
00435 |
Rh35 |
|
|
1114
|
00436 |
Rh36 |
|
|
Bea(Berrens)
|
00437 |
Rh37 |
|
|
Evans
|
00438 |
Rh38 |
|
|
Duclos
|
00439 |
Rh39 |
C-like |
|
|
00440 |
Rh40 |
Tar |
|
Targett
|
00441 |
Rh41 |
Ce-like |
|
|
00442 |
Rh42 |
Ces |
rh1s |
Thornton
|
00443 |
Rh43 |
|
|
Crawford
|
00444 |
Rh44 |
|
|
Nou
|
00445 |
Rh45 |
|
|
Riv
|
00446 |
Rh46 |
"Allelic" to RN |
Sec
|
00447 |
Rh47 |
|
|
Dav
|
00448 |
Rh48 |
|
|
JAL
|
00449 |
Rh49 |
|
|
Stem
|
00450 |
Rh50 |
|
|
FPTT
|
이 혈액형은 어머니가 Rh-형이고 태아가 Rh+형인 경우, 첫 번째 출산으로 어머니의 몸 속에 Rh+에 대한 항체가 생겨 두 번째 아이의 임신에 영향을 주는 신생아 용혈성 빈혈(적아세포증)에 중요하다. 또한 동양인은 Rh-형이 극히 적으므로, 수혈 시에 상당한 문제가 되기도 한다.
Rh-형은 동양에서는 전체의 1%도 안 되는 반면, 서양에서는 Rh-형이 전체의 20%를 차지한다. 이런 희귀성 때문에 동양국가에서는 Rh-형인 사람들을 따로 등록해 두기도 한다.
Rh- 중에서도 극히 드문경우가 있는데 전세계에 단 43명만 있는 것으로 알려진 RH-null이다. Rh-null은 모든 Rh 항원이 없다. 보통 빈혈 증상을 겪다 알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