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비말(呼吸器飛沫, 영어: respiratory droplet) 혹은 침방울은 충분히 크기가 커서 발산된 이후 빠르게 땅으로 떨어지는, 대부분 물로 구성된 입자로, 지름이 5 μm보다 큰 것으로 정의된다. 호흡기 비말은 호흡, 말하기, 재채기, 기침, 구토의 결과로 자연적으로 또는 에어로졸, 의료 절차, 변기, 기타 가정 활동 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호흡기 비말은 크기가 5 μm보다 작으면서 상당히 긴 시간 동안 공기에 남아있을 수 있는 비말핵과는 구별된다. 그러므로 비말핵이 호흡기 비말이 아니더라도 공기매개 질환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형성과 전파
호흡기 비말은 여러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호흡, 말하기, 재채기, 기침, 노래 부르기의 결과로 자연스럽게 생성될 수 있다. 삽관, 심폐소생술(CPR), 기관지경술, 수술, 검시 등의 에어로절 생성 절차를 통하 의료 환경에서 인위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2] 비슷한 비말이 구토, 변기, 젖은 표면, 샤워나 수돗물 사용, 농업 목적의 배수물 분무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3]
형성 방식에 따라 염, 세포, 바이러스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2] 자연적으로 생성된 비말의 경우 비말의 내용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도 내 다른 지점에서 생성될 수 있다.[3] 비말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액의 내용물과 양, 그리고 점성 부분에서 건강한 사람과 질병이 있는 사람 간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4]
각기 다른 형성 방식은 각기 다른 크기와 시작 속도로 비말을 만들 수 있으며 이는 공기 내 전파와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흡입할 경우 10 μm보다 큰 입자들은 높이가 더 낮은 호흡계를 관통하는 대신 코와 목구멍에 남아있게 된다.[4] 바로 흡입한 것이 아니라면 100 μm 미만의 비말은 표면에 정착하기 전에 완전히 건조되는 경향이 있다.[2][3] 건조 상태가 되면 비말 내에 처음부터 불휘발성 물질로 구성된 비말핵이 된다. 호흡기 비말은 공기 내 비생물학적 기원의 다른 입자들과도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3]
질병 전파의 역할
일반적인 질병 감염 전파 형태는 기침, 재채기, 말하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호흡기 비말을 통해서이다. 호흡기 비말 전파는 호흡기 감염의 일반적인 경로이다. 전파는 호흡기 비말이 눈, 코, 입 등 민감한 점막 표면에 도달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후 손을 얼굴에 댈 때 감염된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호흡기 비말의 크기는 큰 편이며 장시간 공기에 남아있지 못하며 짧은 거리에 걸쳐 흩어지는 것이 보통이다.[5]
주위 온도와 습도는 바이오에어로졸의 생존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 이유는 비말이 증발하고 더 작아지게 되면서 비말에 포함될 수 있는 감염 작용 물질들의 보호력이 더 낮아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지질 피막 바이러스는 건조한 공기에 더 안정적이며 피막이 없는 바이러스는 촉촉한 공기에 더 안정적이다. 또,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낮은 기온에서 더 안정적이다.[3]
위험 통제
의료 환경에서는 환자를 1인실에 배치할 것, 실외 수송을 제한할 것,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를 사용할 것이 비말 주의사항에 포함된다.[1][9]
역사
독일의 미생물학자 칼 플뤼케는 1899년 기도로부터 배출된 비말 내 미생물들이 질병 전파의 수단이 됨을 최초로 입증하였다. 20세기 초에 플뤼케 비말(Flügge droplet)이라는 용어가 약 100 μm를 초과하면서 완전히 건조되지 않을 만큼 충분히 크기가 큰 입자를 의미하기 위해 종종 사용되었다.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