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해석학에서 폰 노이만 대수(von Neumann代數, 영어: von Neumann algebra)는 어떤 복소수 바나흐 공간의 연속 쌍대 공간으로 나타낼 수 있는 C* 대수이다. 이러한 C* 대수는 항상 적절한 위상에 대하여 닫힌집합을 이루는,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대수로 나타낼 수 있다.[1][2][3][4][5]
정의
폰 노이만 대수의 개념은 두 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추상적 정의
C* 대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복소수 바나흐 대수, 특히 복소수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만약 가 되는 복소수 바나흐 공간 가 존재한다면, 를 폰 노이만 대수라고 한다. (여기서 은 복소수 바나흐 공간 사이의 등거리 복소수 선형 전단사 함수의 존재이며, 는 의 복소수 연속 쌍대 공간이다.)
사실, 이러한 복소수 바나흐 공간 는 (등거리 복소수 선형 전단사 함수 아래) 유일하다. 이를 의 원쌍대 공간(영어: predual)이라고 한다.
구체적 정의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들의 C* 대수 를 생각하자. 그 부분 집합 가 덧셈과 합성과 에르미트 수반과 복소수 스칼라곱에 대하여 닫혀 있으며 항등원을 포함한다고 하자. 이제, 집합
및
를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폰 노이만 정리에 따르면, 의 다음 세 부분 집합이 모두 같다.
- 의 강한 작용소 위상(즉, 점별 노름 수렴 위상)에서의 폐포
- 의 약한 작용소 위상(즉, 점별 약한-* 위상 수렴 위상)에서의 폐포
만약 이라면, (와 동형인 C* 대수)를 폰 노이만 대수라고 한다. 이 정의에 따라, 임의의 부분 집합 가 주어졌을 때 를 포함하는 최소의 폰 노이만 대수
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로 생성되는 폰 노이만 대수(영어: von Neumann algebra generated by )라고 한다.
추상적 정의에 따른 임의의 폰 노이만 대수에 대하여, 겔판트-나이마르크 정리를 통해 이를 힐베르트 공간 위의 작용소 대수로 표현할 수 있다. 반대로, 구체적 정의에 대한 폰 노이만 대수는 (힐베르트 공간 위의 작용을 무시할 때) 항상 추상적 정의에 부합한다.
무게
폰 노이만 대수 의 원소 에 대하여, 만약 인 가 존재한다면, 를 양원소(陽元素, 영어: positive element)라고 한다. 양원소의 집합을 로 표기하자. 이들의 집합은 반환 위의 가군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는 위의 가군을 이룬다.
-선형 함수
를 무게라고 한다. 즉, 무게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위 정의에서 으로 놓는다.
만약 무게 가 을 만족시킨다면, 이를 상태(狀態, 영어: state)라고 한다. 무게 가
를 만족시킨다면, 이를 대각합(對角合, 영어: trace)이라고 한다.
분류
폰 노이만 대수 가운데, 만약 라면, 를 폰 노이만 인자(von Neumann因子, 영어: von Neumann factor)라고 하자. (여기서 는 환으로서의 중심이다.)
모든 폰 노이만 대수는 인자들의 직접 적분(영어: direct integral)
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표현은 사실상 유일하다. 따라서, 폰 노이만 대수의 분류는 인자 대수의 분류로 귀결된다. 인자 대수의 분류는 상당 부분 알려져 있다.
예
유계 작용소
임의의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에 대하여, 모든 유계 작용소의 대수 는 폰 노이만 대수를 이룬다. 이 경우, 그 원쌍대 공간은 대각합을 부여한, 대각합류 작용소의 복소수 바나흐 공간 이다.
르베그 공간
가 시그마 유한 측도 공간이라고 하자.
복소수 값 ∞-르베그 공간 은 (점별 덧셈과 곱셈 및 복소수 켤레에 대하여) 폰 노이만 대수를 이룬다. 그 원쌍대 공간은 1-르베그 공간 이다.
는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에 작용하는 유계 작용소 대수로 여길 수 있다. 즉,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매장이 존재한다.
이중 연속 쌍대 공간
셔먼-다케다 정리(Sherman-[武田]定理, 영어: Sherman–Takeda theorem)에 따르면, 임의의 C*-대수 에 대하여, 그 이중 연속 쌍대 공간 는 표준적으로 폰 노이만 대수를 이룬다. 이 경우, 를 의 포락 폰 노이만 대수(영어: enveloping von Neumann algebra)라고 한다.
역사
폰 노이만 정리는 존 폰 노이만이 증명하였다.[6][7] 이후 폰 노이만과 프랜시스 조지프 머리(영어: Francis Joseph Murray, 1911~1996)가 폰 노이만 대수의 기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8][9][10] 폰 노이만 대수의 추상적인 정의는 사카이 쇼이치로(일본어: 境 正一郎, 1928~)가 도입하였다.[11]
셔먼-다케다 정리는 시모어 셔먼(영어: Seymour Sherman, 1917~1977)이 1950년에 증명 없이 발표하였으며,[12] 1954년에 다케다 지로(일본어: 武田 二郎)가 증명을 출판하였다.[13]
이후 알랭 콘과 본 존스 등이 폰 노이만 대수의 이론에 크게 공헌하였다.
각주
- ↑ Dixmier, J. (1957). 《Les algèbres d’opérateurs dans l’espace hilbertien: algèbres de von Neumann》 (프랑스어). Gauthier-Villars.
- ↑ Blackadar, B. (2005). 《Operator algebras》 (PDF) (영어). Springer. ISBN 3-540-28486-9. 2017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5일에 확인함.
- ↑ Connes, A. (1994). 《Non-commutative geometry》 (PDF) (영어). Academic Press. ISBN 0-12-185860-X.
- ↑ Sakai, Shoichiro (1971). 《C*-algebras and W*-algebras》 (영어).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42-61993-9. ISBN 3-540-63633-1.
- ↑ Brown, Nathanial P. (2008). “The symbiosis of C*- and W*-algebras” (영어). arXiv:0812.1763. Bibcode:2008arXiv0812.1763B.
- ↑ von Neumann, J. (1930). “Zur Algebra der Funktionaloperationen und Theorie der normalen Operatoren”.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102 (1): 370–427. doi:10.1007/BF01782352.
- ↑ Murray, F. J. 〈The rings of operators papers〉. 《The legacy of John von Neumann (Hempstead, NY, 1988)》. Proceedings of Symposia on Pure Mathematics (영어) 50.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57–60쪽. ISBN 0-8218-4219-6.
- ↑ Murray, Francis Joseph; von Neumann, John (1936). “On rings of operators”.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37 (1): 116–229. doi:10.2307/1968693. JSTOR 1968693.
- ↑ Murray, Francis Joseph; von Neumann, John (1937). “On rings of operators II”.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41 (2): 208–248. doi:10.2307/1989620. JSTOR 1989620.
- ↑ Murray, Francis Joseph; von Neumann, John (1943). “On rings of operators IV”.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44 (4): 716–808. doi:10.2307/1969107. JSTOR 1969107.
- ↑ Sakai, Shôichirô (1956). “A characterization of W∗-algebras”. 《Pacific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6 (4): 763–773. ISSN 0030-8730. MR 84115. Zbl 0072.12404.
- ↑ Sherman, S. (1950). 〈The second adjoint of a C* algebra〉 (PDF).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1950. Volume 1》 (영어) 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470쪽. 2013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5일에 확인함.
- ↑ Takeda, Zirô (1954). “Conjugate spaces of operator algebras”. 《Proceedings of the Japan Academy》 (영어) 30 (2): 90–95. doi:10.3792/pja/1195526177. ISSN 0021-4280. MR 6357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