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구균

장내구균속
허파조직을 감염시킨 Enterococcus sp.
허파조직을 감염시킨 Enterococcus sp.
생물 분류ℹ️
역: 세균
문: 후벽균문
강: 간균강
목: 유산균목
과: 장내구균과
속: 장내구균속
(Enterococcus)
(ex Thiercelin & Jouhaud 1903)
Schleifer & Kilpper-Bälz 1984
  • 본문 참조

장내구균(Enterococcus, 고대 그리스어: έντερο -)은 후벽균문에 속하는 유산균의 일종이다. 그람 양성 구균이며, 종종 쌍구균이나 짧은 연쇄상구균으로 나타나 기타 연쇄상구균과 형태학적으로 구분하기는 어렵다.[1] 사람에게서 편리 공생을 하는 종으로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 faecalis)와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 faecium)이 있는데 이 중 전자가 90~95%, 후자가 5~10%를 차지한다. E. casseliflavus, E. gallinarum, E. raffinosus도 사람을 감염시킬 때가 있다.[1]

계통학

조건혐기성 미생물로, 산소가 풍부한 환경이나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도 잘 호흡할 수 있다.[2] 포자를 만들지는 않으나, 상당히 넓은 기온폭(10~45 °C)이나 pH(4.5~10.0)에서도 생존할 수 있고, 염화 나트륨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생존 가능하다.[3]

양 혈액 한천 배지에서 감마 용혈성을 보인다.

역사

장내구균속은 1984년 이전에는 연쇄상구균 D군으로 분류되었으나, 유전체 분석을 통해 별도의 속으로 분류할 것이 제안되어 받아들여졌다.[4] 4억 2천 5백만 년 전에서 5억 년 전 사이에 진화하였다.[5]

병리학

요로감염증, 균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게실염, 수막염, 특발성 세균성 복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 중 요로감염증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에 의해 감염되었을 때 나타난다.[3][6][7] 항생제에 민감한 균주의 경우 암피실린, 페니실린, 반코마이신 등의 항생물질로 치료할 수 있다.[8] 요로감염증의 경우 반코마이신 저항성을 띄더라도 니트로푸란토인을 투여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다.[9]

수막염

장내구균성 수막염 역시 드물게 발생한다. 정맥이나 수막공간내에 반코마이신을 직접 투여하기도 하는데, 이 방법이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내는지에 대해선 아직 의견이 분분하다. 신경계에 삽입된 보조 기구가 있다면 이를 제거해야 한다.[10] 최근의 역학 조사 결과는 장내구균이 만성 세균성 복막염의 주된 원인일 가능성을 보여준다.[11] 전립선미생물막을 형성하여 발기부전을 야기하기도 한다.

항생제 저항성

본래 높은 항생제 저항성을 가지는 이유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일부 장내구균은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베타-락탐계열 항생제을 비롯하여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다종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태어난다.[7] 또한 지난 20년간 미국 등지에서 반코마이신에 대한 내성을 가진 균주(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 VRE)에 의한 원내감염이 보고되고 있다.[3] 영국 등의 다른 선진국에서는 유행병으로 발전하기도 했는데, 실제로 2005년에 싱가포르에서 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 유행이 발생하여 진압되기도 하였다.[12] 퀴누프리스틴/달프로프리스틴계열의 약제를 통해 70%정도 치료할 수 있다.[13] 리팜피신, 타이제사이클린 역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14][15]

수질

장내구균에 의한 오염은 그 정도가 낮더라도 항상 주지되고 있다. 일례로 하와이를 비롯한 미국 대부분에서 5주동안 평균적으로 35개의 콜로니가 100mL의 물에서 발견될 때, 주 당국은 해안가에 경고를 내릴 수 있다.[16] 2004년에는 공공 해수에 대한 미연방 수질표준에서는 분변 대장균과 비슷한 정도로, 공공 담수에 대한 표준에서는 대장균과 비슷한 정도로 주의가 요구된다.[17] 도시 하수에서 발견되는 병원성 미생물들 중 분변 대장균보다 더 높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기도 한다.[18]

각주

  1. Gilmore MS; 외., 편집. (2002). 《The Enterococci: Pathogenesis, Molecular Biology, and Antibiotic Resistance》. Washington, D.C.: ASM Press. ISBN 978-1-55581-234-8. 
  2. Fischetti VA, Novick RP, Ferretti JJ, Portnoy DA, Rood JI, 편집. (2000). 《Gram-Positive Pathogens》. ASM Press. ISBN 1-55581-166-3. 
  3. Fisher K, Phillips C (June 2009). “The ecology, epidemiology and virulence of Enterococcus”. 《Microbiology》 155 (Pt 6): 1749–57. doi:10.1099/mic.0.026385-0. PMID 19383684. 
  4. Schleifer KH, Kilpper-Balz R (1984). “Transfer of Streptococcus faecalis and Streptococcus faecium to the genus Enterococcus nom. rev. as Enterococcus faecalis comb. nov. and Enterococcus faecium comb. nov.”. 《Int. J. Syst. Bacteriol.》 34: 31–34. doi:10.1099/00207713-34-1-31. 
  5. Lebreton F, Manson AL, Saavedra JT, Straub TJ, Earl AM, Gilmore MS (2017) Tracing the Enterococci from Paleozoic origins to the hospital. Cell 169(5):849-861.e13. doi: 10.1016/j.cell.2017.04.027
  6. Fiore, Marco; Maraolo, Alberto Enrico; Gentile, Ivan; Borgia, Guglielmo; Leone, Sebastiano; Sansone, Pasquale; Passavanti, Maria Beatrice; Aurilio, Caterina; Pace, Maria Caterina (2017년 10월 28일). “Current concepts and future strategies in the antimicrobial therapy of emerging Gram-positive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World Journal of Hepatology》 9 (30): 1166–1175. doi:10.4254/wjh.v9.i30.1166. ISSN 1948-5182. PMC 5666303. PMID 29109849. 
  7. Ryan KJ, Ray CG, 편집. (2004).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4판. McGraw Hill. 294–5쪽. ISBN 0-8385-8529-9. 
  8. Pelletier LL Jr. (1996). 〈Microbiology of the Circulatory System〉. Baron S; 외. 《Baron's Medical Microbiology》 4판. Univ of Texas Medical Branch. ISBN 0-9631172-1-1. 
  9. Zhanel GG, Hoban DJ, Karlowsky JA (January 2001). “Nitrofurantoin is active against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45 (1): 324–6. doi:10.1128/AAC.45.1.324-326.2001. PMC 90284. PMID 11120989. 
  10. Guardado R, Asensi V, Torres JM, Pérez F, Blanco A, Maradona JA, Cartón JA (2006). “Post-surgical enterococcal meningitis: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study of 20 cases”. 《Scandinavia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38 (8): 584–8. doi:10.1080/00365540600606416. PMID 16857599. 
  11. Lipsky, Benjamin A.; Byren, Ivor; Hoey, Christopher T. (2010년 6월 15일). “Treatment of Bacterial Prostatiti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영어) 50 (12): 1641–1652. doi:10.1086/652861. ISSN 1058-4838. 
  12. Kurup A, Chlebicki MP, Ling ML, Koh TH, Tan KY, Lee LC, Howe KB (April 2008). “Control of a hospital-wid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outbreak”.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6 (3): 206–11. doi:10.1016/j.ajic.2007.06.005. PMID 18371517. 
  13. Tünger A, Aydemir S, Uluer S, Cilli F (December 2004). “In vitro activity of linezolid & quinupristin/dalfopristin against Gram-positive cocci”. 《The Indian Journal of Medical Research》 120 (6): 546–52. PMID 15654141. 
  14. Mercier, Renee-Claude; Kennedy, Christine; Meadows, Christina (2002년 12월). “Antimicrobial activity of tigecycline (GAR-936) against Enterococcus faec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used alone and in combination”. 《Pharmacotherapy》 22 (12): 1517–1523. doi:10.1592/phco.22.17.1517.34117. ISSN 0277-0008. PMID 12495161. 
  15. Holmberg, Anna; Rasmussen, Magnus (2014년 7월). “Antibiotic regimens with rifampicin for treatment of Enterococcus faecium in biofilms”.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44 (1): 78–80. doi:10.1016/j.ijantimicag.2014.03.008. ISSN 1872-7913. PMID 24837415. 
  16. “Clean Water Branch” (PDF). 《Hawaii State Department of Health》. 2011년 11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8일에 확인함. 
  17. “Water Quality Standards for Coastal and Great Lakes Recreation Waters; Final Rule”. 《Federal Register》 69 (220): 67218–67243. 2004년 11월 16일. 2014년 11월 26일에 확인함. 
  18. Jin G, Jeng HW, Bradford H, Englande AJ (2004). “Comparison of E. coli, enterococci, and fecal coliform as indicators for brackish water quality assessment”. 《Water Environment Research》 76 (3): 245–55. doi:10.2175/106143004X141807. PMID 15338696. 

외부 링크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