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하댐

임하 다목적댐
臨河 多目的dam
임하댐의 방류중인 모습. 2006년
{
{
대한민국 내 임하 다목적댐의 위치
나라대한민국
위치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유형E.C.R.D[A] (다목적댐)
C.G.D[B]
C.F.R.D[C]
상태운영중
착공날짜1984년 12월 29일
준공날짜1992년 5월 24일
운전날짜1992년
사업주체한국수자원공사 임하댐관리단
저수지
이름임하호(臨河湖)
총저수용량5억 9500만m3
저수면적1,361 km2
연발전량9670만kWh

임하댐 또는 임하 다목적댐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D] 반변천낙동강 유역 수자원 종합개발을 위하여 1984년 12월 공사를 시작하여,[3][4] 1992년 완성된 이다. 대한민국에서 9번째로 준공한 다목적댐이다.[5][6] 댐 축조는 1990년 완료하였다. 1991년 발전설비를 갖추고, 그해 12월 담수를 개시하였다. 92년 임하댐 관리사무소로 전환하고, 준공기념식과 상업 발전을 시작했다.[7] 연간 5억 9200만m3의 용수[E]를 공급하며, 연간 발전량은 9670만kWh이다.[8][9]

2001년까지는 2급수 수질을 유지했으나 잇따른 태풍 루사[F]와 매미[G]로 인하여 수질이 나빠졌으며, 이후 2005년 탁수(濁水) 개선에 2331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였다. [10] 임하댐의 COD (단위 : mg/L)[H]기준, 2013년에 4.0, 2014년 4.3을 나타냈다.[11]

영천댐으로 물을 흘려보내는 도수로가 2001년에 개통했고, 안동댐과 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수로도 건설되어 있다.

저수율

2018년 1월 13일 기준, 현재 저수율은 40.4%이다.[12]

연도별 저수율 (7월 기준)
연도 저수율 (%) 비고
2017 월초 39.1, 월말 45.9 [I]
2016 47.6 [14]
2015 29.2
2014 27.6 [15]
2013 37.7

같이 보기

각주

내용
  1. E.C.R.D: Earth Core Rockfill Dam[1]
  2. C.G.D: Concrete Gravity Dam[2]
  3. C.F.R.D: Concrete Faced Rock Fill Dam[2]
  4. 댐 서측은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동측은 안동시 임동면 망천리이다.
  5. 생활용수ㆍ공업용수ㆍ농업(관개)용수·하천(금호강)유지용수
  6. 루사 : 2002년 8월 31일 한반도에 상륙, 강도 “강”의 세력으로 한반도에 상륙한 몇 안되는 태풍 중의 하나이며, 큰 비를 수반한 대표적인 태풍.
  7. 매미 : 2003년 9월 12일 한반도에 상륙해 경상도를 중심으로 막대한 피해를 일으킨 태풍.
  8. COD :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물속에 함유된 유기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 수치가 낮을수록 수질이 좋은 상태이다.
  9. 7월1일, 7월 31일.[13]
출처
  1. 한국수자원공사. “임하다목적댐 - 댐현황”. 《한국수자원공사》. 2016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2. 한국수자원공사 (n.d.). “임하댐 수문자료”. 2018년 1월 13일에 확인함. 
  3. 매일경제 (1985년 3월 26일). “國內(국내) 열번째 臨河(임하)다목적댐起工(기공)”. 《매일경제》. 11면면.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임하다목적댐이 26일 상오 김성배 건설부장관, 이희근 산업기지개발공사 사장, 이상희 경북지사등 관계인사 다수가 참석한 가운데 경북 안동군 임하면 건설현장에서 거행됐다. 
  4. “임하다목적댐 기공”. 《대한뉴스》 (제1534호). CEN0001475(4) (국립영화제작소). 1985. 
  5. 경향신문 (1992년 5월 14일). “臨河(임하) 다목적댐 준공 安東(안동)”. 《경향신문》. 7면면.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우리나라 9번째 다목적댐인 臨河(임하)다목적댐이 착공 7년 5개월만인 13일 준공됐다. 
  6. 구대선 (1992년 5월 14일). “임하 다목적댐 준공”. 《한겨레》 (안동). 7면면.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국내의 9번째 다목적댐인 임하댐 준공식이13일 오후 3시 경북 안동군 임하면 임하리 댐 현장에서 
  7. “임하댐”. 《디지털안동문화대전》.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8.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임하댐(Imha Dam)”. 《유튜브》. 
  9. 한국수자원공사 (2016). “2015 수도관리연보” (PDF). 《한국수자원공사》.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임하댐, 학야정수장(경북 포항시)의 수원 
  10. 문성규 (2005년 1월 27일). “안동 임하댐 탁수 개선에 2천331억원 투입”. 《연합뉴스》 (안동). 2016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지난 92년 완공된 임하댐은 경주와 포항지역의 생활용수 공급을 포함해 낙동강 유역 용수 공급을 담당 
  11. 한국수자원공사. “경영공시-수질관리”. 《한국수자원공사》. 2016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12. 한국수자원공사 (2017). “2018년 1월 13일 임하댐 수문자료” (XLS). 《물정보포털》. 2018년 1월 13일에 확인함. 
  13. 한국수자원공사 (2017). “2017년 7월 임하댐 수문자료” (XLS). 《물정보포털》. 2018년 1월 13일에 확인함. 
  14. 이강일 (2016년 7월 12일). “잦은 비로 경북 저수율 상승…안동댐 60.7%·임하댐 47.6%”. 《연합뉴스》 (안동). 2016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15. 권광순 (2014년 7월 23일). “최악가뭄, 안동댐 發電 못할판”. 《매일경북》. 2016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3일에 확인함. 임하댐도 마찬가지여서 지난해 37.7%이던 것이 올해는 27.6% 수준으로 떨어졌다. 

참고 문헌

외부 링크

관련 영상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