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 감소는 다른 종들의 전 세계적인 멸종뿐만 아니라 특정 서식지에서 종들의 국지적인 감소 또는 손실을 포함하여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초래한다. 후자의 현상은 손실을 초래하는 환경 악화가 생태 복원/생태 회복력을 통해 가역적인지 아니면 효과적으로 영구적인지에 따라 일시적일 수도 있고 영구적일 수도 있다. 현재의 전 세계적인 멸종(생물대멸종으로 불림)은 지구 위험 한계선을 넘어서는 인간 활동에 의해 주도되는 생물다양성 위기를 초래했으며 지금까지 되돌릴 수 없음이 입증되었다.
보존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 요인은 주거 및 상업 개발, 농업 활동, 에너지 생산 및 채굴, 운송 및 서비스 회랑, 생물 자원 고갈, 서식지 및 종들의 자연을 파괴하는 인간의 침입 및 활동, 생태적 변화, 생태계 교란종, 병원균 및 유전자 변화, 오염, 치명적인 지질학적 사건으로 인한 변화, 기후 변화 등의 11가지 이상이 있다.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에 관해 수많은 과학자들과 IPBES 글로벌 평가 보고서는 인간의 개체수 증가와 과소비가 이러한 감소의 주요 요인[1]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른 과학자들은 서식지의 손실이 주로 "수출을 위한 상품의 성장"에 의해 발생하며 인구는 국가 간의 수많은 과학자들과 부의 차이로 인해 전체 소비와 거의 관련이 없다고 말하며 이를 비판했다.
기후변화는 지구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또 다른 요인이다. 예를 들어, 지구온난화가 현재와 같은 속도로 지속된다면 생물다양성의 핫스팟인 산호초는 세기 내에 사라질 것이다.[2] 하지만 현재 기후변화보다는 농업의 확대로 인한 서식지 파괴 등이 현대 생물다양성 손실의 더 큰 원인이다.
국제환경단체들은 수십 년간 생물다양성 손실을 막기 위한 캠페인을 벌여왔고, 공중보건당국은 이를 공중보건 실천에 대한 원 헬스(One Health) 접근법[3]으로 통합했으며, 점점 더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은 지구의 3대 위기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국제정책의 일환이다. 예를 들어, 유엔 생물다양성협약은 생물다양성 손실을 예방하고 야생지역 사전적 보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대한 국제적 약속과 목표는 현재 지속가능개발목표 15 "Life on Land"와 지속가능개발목표 14 "Life of Water"에 의해 구체화되어 있다.[4]
그러나 2020년에 발표된 "자연과의 평화 만들기"에 관하여 UNEP, 유엔 환경 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5]은 이러한 노력의 대부분이 국제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했다고 발표했다. 2010년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Aichi Biodiversity Targets)가 제시한 20개 생물다양성 목표 중 2020년 시한까지 "부분적으로 달성된" 것은 고작 6개에 불과하다.[6][7]
손실율
생물다양성은 일반적으로 종의 다양성, 유전적 변이, 이러한 생물 형태의 상호 작용 등 모든 형태의 지구상 생물의 다양성으로 정의된다.
지구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생명체의 존재이며, 생명체의 가장 놀라운 특징은 다양성이다. 현재 지구의 다양성 감소율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배경 멸종률[8][9]의 100배에서 1000배로 인류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빠른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 몇 년 동안에도 여전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및 가오리류를 포함한 수많은 동물군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급격하게 증가하는 멸종 추세는 과학자들로 하여금 육지 생태계와 해양 생태계 모두에서 동시대의 생물 다양성 위기를 선언하게 했다.[10]
해결책 제안
생물다양성 감소와 관련된 보전 도전은 정부, 비정부 기구, 보전가 등이 협력하여 공공 정책, 경제적 해결책, 모니터링 및 교육을 통해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 종 보호와 자연 서식지 보전을 위해 동기가 필요하며 서식지 손실과 악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예: 지속 가능한 개발 및 SDG 15 목표를 포함한 대상 실행) 서식지 손실과 악화에는 동기부여를 줄 필요가 있다. 다른 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으로는 야생동물 포획을 방지하고, 과다 사냥 및 과다 어업으로부터 종을 보호하며, 종이 의존하는 생태계를 통째로 보전하고 종 침입 및 토지 이용 변환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법을 시행하는 것이 있다. 또한, 글로벌 세이프티 넷과 같은 기반된 보전 모델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생물다양성 감소를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생태학적 연결을 고려한다. 생물다양성을 보호하는 행동은 전염병 발생 위험을 줄이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다.
세계 각지의 보전가들과 지속가능한 연구 과학자들은 또한 생물다양성 감소를 완화하기 위한 시스템 기반 접근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론은 과학자들이 생태적 발자취, 행성적 한계, 생태학적 경제 등과 같은 환경 보전의 다양한 뉘앙스와 연결을 고려하는 맥락적인 프레임워크를 만들 수 있게 한다. 자연과 인간 세계가 교차하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함으로써 연구자들은 생물다양성 감소로 이어지는 복잡한 상황을 이해하고 유사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패턴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프레임워크 중 하나의 예는 사회, 환경 및 경제적 성공의 결합에 대한 기업 및 기관의 영향과 진전을 평가하는 데 채택된 '트리플 보텀 라인(Triple bottom line)[11]'이다.
2020년 9월에는 토지 이용 변화의 원인을 다루고, 보전 관리하에 있는 땅의 범위를 확대하며, 농업의 효율성과 식물 기반 식단의 비율을 높이는 등의 생물다양성 감소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과학자들이 권고했다.
2022년에는 유럽 연합 집행 위원회(European Commission) 부위원장인 프란스 팀머만스(Frans Timmermans)가 생물다양성 감소의 위협에 대한 인식이 기후 변화의 위협에 비해 덜하다고 언급했다. IPBES와 IPCC의 과학자들이 협력하여 작성한 2021년 공동 보고서에 따르면 생물다양성 감소와 기후 변화는 불가피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인간의 복지에 유사한 영향을 미치므로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다루어야 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과 유네스코(UNESCO)가 제작한 연구에 따르면 지구의 1% 미만을 차지하는 세계 유산지에서는 거의 3/4의 새 종, 2/3의 포유동물 및 1/2 이상의 담수 양서류가 기록되었다. 보고서의 권고 사항은 세계 유산지를 보전 전략과 행동 계획에 포함시키기 위해 해당 국가들을 격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