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는 중국 음운학에서 중국어 중고음(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聲母, 두자음)를 나타내기 위해 쓰인 36가지의 한자이다.
당나라 말기의 승려 수온(守溫)이 만든 30자모에 추가로 송나라의 학자들이 非母, 敷母, 奉母, 微母, 牀母, 娘母의 6자모를 덧붙여서 성립되었다고 여겨진다.
음가
왕리가 추정한 발음을 정리한 것이다.[1]
성모
|
선진
|
전한
|
후한
|
남북조
|
수·당
|
오대
|
송
|
원
|
명·청
|
현대
|
幇
|
p
|
滂
|
pʰ
|
竝
|
平
|
b
|
pʰ
|
病
|
p
|
明
|
m
|
非
|
p
|
f
|
敷
|
pʰ
|
f
|
奉
|
b
|
v
|
f
|
微
|
m
|
ɱ
|
v
|
w
|
端
|
t
|
透
|
tʰ
|
定
|
同
|
d
|
tʰ
|
獨
|
t
|
泥
|
n
|
知
|
卓
|
t
|
ʈ
|
t͡ɕ
|
ʈ͡ʂ
|
竹
|
徹
|
逴
|
tʰ
|
ʈʰ
|
t͡ɕʰ
|
ʈ͡ʂʰ
|
畜
|
澄
|
幢
|
d
|
ɖ
|
t͡ɕʰ
|
ʈ͡ʂʰ
|
蟲
|
濁
|
t͡ɕ
|
ʈ͡ʂ
|
逐
|
娘
|
n
|
精
|
臧
|
t͡s
|
|
將
|
t͡ɕ
|
淸
|
倉
|
t͡sʰ
|
|
蹌
|
t͡ɕʰ
|
從
|
藏
|
d͡z
|
t͡sʰ
|
|
墻
|
t͡ɕʰ
|
臟
|
t͡s
|
|
匠
|
t͡ɕ
|
心
|
桑
|
s
|
|
相
|
ɕ
|
邪
|
隨
|
z
|
s
|
|
祥
|
ɕ
|
照
|
支
|
ʈ͡ʂ
|
ʂ
|
t͡ɕ
|
ʈ͡ʂ
|
章
|
穿
|
蚩
|
ʈ͡ʂʰ
|
ʂʰ
|
t͡ɕʰ
|
ʈ͡ʂʰ
|
昌
|
牀
|
鋤
|
ɖ͡ʐ
|
ʐ
|
t͡ɕʰ
|
ʈ͡ʂʰ
|
助
|
t͡ɕ
|
ʈ͡ʂ
|
士
|
ɕ
|
ʂ
|
審
|
詩
|
ʂ
|
ɕ
|
ʂ
|
商
|
ʂ
|
禪
|
時
|
ʐ
|
ɕ
|
ʂ
|
常
|
t͡ɕʰ
|
ʈ͡ʂʰ
|
尙
|
ʂ
|
|
莊
|
t͡s
|
t͡ɕ
|
ʈ͡ʂ
|
初
|
t͡sʰ
|
t͡ɕʰ
|
ʈ͡ʂʰ
|
山
|
ɕ
|
s
|
ɕ
|
ʂ
|
俟
|
ʑ
|
z
|
ɕ
|
s
|
見
|
剛
|
k
|
|
姜
|
t͡ɕ
|
溪
|
康
|
kʰ
|
|
羌
|
t͡ɕʰ
|
群
|
狂
|
ɡ
|
kʰ
|
共
|
k
|
疑
|
昂
|
ŋ
|
∅
|
吾
|
w
|
迎
|
j
|
牛
|
j
|
n / ɲ
|
齧
|
n
|
影
|
安
|
ʔ
|
∅
|
煙
|
j
|
彎
|
w
|
曉
|
漢
|
x
|
h
|
x
|
|
獻
|
ɕ
|
匣
|
寒
|
ɣ
|
ɦ
|
h
|
x
|
|
完
|
賢
|
ɕ
|
喩
|
于
|
j̃
|
j
|
j / w
|
爲
|
余
|
ʎ
|
j
|
維
|
來
|
l
|
日
|
ɲ
|
ɳ
|
ɽ
|
ɻ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