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쾡이자리 알파(α Lyn)는 북반구 하늘 살쾡이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겉보기 등급은 +3.13이다.[3] 특이한 점은 살쾡이자리에서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그리스 문자가 붙은 항성은 이 별이 유일하다는 것이다.[7] 시차 측정자료에 따르면 이 별은 지구로부터 약 203 광년(62 파섹) 떨어져 있다.[2]
이 별은 중심핵에 있는 수소를 다 태우고 주계열 단계에서 떠난 거성이다. 반지름은 태양의 55배에 광도는 약 673배 정도이다.[4] 항성 최외곽 대기에서 표면온도 예측치는 3,882 켈빈으로[6] 태양 온도 5,778 켈빈보다 낮다. 이 정도 온도에서 살쾡이자리 알파는 K형 항성의 특징인 오렌지색 빛을 뿜는다.[8]
살쾡이자리 알파는 밝기가 미묘하게 변화하는 적색 변광성으로 실시등급은 3.12~3.17 범위에서 변화한다.[9][10] 보통 이 밝기변화 패턴은 불활성 탄소핵을 중심으로 헬륨을 태우는 껍질층이 둘러싸고 있는 항성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알파는 미라형 변광성으로 진화를 시작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7]
각주
- ↑ * alf Lyn -- High proper-motion Star SIMBAD, 2015-09-02 확인.
-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1): 99. Bibcode:1966CoLPL...4...99J.
- ↑ 가 나 다
Piau, L.; 외. (2010). “Surface convection and red giants radii measurem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26: 100. arXiv:1010.3649. Bibcode:2011A&A...526A.100P. doi:10.1051/0004-6361/201014442. For Mbol, see Table 1.
- ↑
Morgan, W. W.; Keenan, P. C. (1973). “Spectral Classification”.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11: 29. Bibcode:1973ARA&A..11...29M. doi:10.1146/annurev.aa.11.090173.000333.
- ↑ 가 나 다 라 마
Massarotti, A.; 외. (2008). “Rotational and Radial Velocities for a Sample of 761 HIPPARCOS Giants and the Role of Binarity”.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1): 209–231. Bibcode:2008AJ....135..209M. doi:10.1088/0004-6256/135/1/209.
- ↑ 가 나
Kaler, J. B. (2005년 5월 11일). “ALPHA LYN (Alpha Lyncis) and ALSCIAUKAT (31 Lyncis)”.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2011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The Colour of Stars”.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년 12월 21일.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Percy, J. R.; 외. (1994). “Photometric surveys of suspected small-amplitude red variables. III: An AAVSO photometric photometry survey”.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06 (700): 611–615. Bibcode:1994PASP..106..611P. doi:10.1086/133420.
- ↑ Kukarkin, B. V.; 외. (1981). “Catalogue of suspected variable stars”. 《Nachrichtenblatt der Vereinigung der Sternfreunde e.V.》. Bibcode:1981NVS...C......0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