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이

냉이
세밀화.
세밀화.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십자화목
과: 배추과
속: 냉이속
종: 냉이
학명
Capsella bursa-pastoris
L. W. Medicus. 1792

냉이(학명Capsella bursa-pastoris, 영어: shepherd's purse)는 세계 각국에 널리 분포하는 배추과두해살이풀로 나생이, 나숭개, 난생이라고도 부른다. 거친 땅에서도 잘 자라는 황무지 식물로 5-6월에 꽃이 피고 씨앗을 맺는다. 약재(藥材)로 부를 때는 제채(齊菜)라고 부른다.[1] 이른 봄을 대표하는 들나물 가운데 하나로 달고 독이 없어 계절 음식으로 즐겨 먹는다.[2] 독특한 냄새가 난다.[3]

명칭

냉이는 지방마다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 황해도에서는 내이, 평안도에서는 냉이, 경상도에서는 난생이 또는 나수랭이, 충청도에서는 나상이 나승갱이 나싱이, 전라도에서는 나새 나상구 등으로도 부른다.[2]

냉이의 어원은 냉이 < 나이 < 나ᅀᅵ이다. 냉이는 한자로 제(薺)인데, 한자어 제채(薺菜)는 말하자면 '냉이 나물'이다.

냉이의 일본어 이름 나즈나(ナズナ)의 유래[4]는 여러 갈래인데, 앞부분 나즈-는 한국어 원말 나ᅀᅵ와 비슷하고 뒷부분 -는 나물을 이르므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냉이를 영어권에서는 목동 주머니(shepherd's purse)라고 부르는데 삼각형인 열매 모양 때문이다.[5]

생김새

뿌리에서 나오는 잎이 둥글게 뭉쳐난다.[6] 이렇게 자라는 근생엽을 로제타 형태라고 한다.[7] 잎의 길이는 10 cm 이상이고 두대우상(頭大羽狀, 머리가 큰 깃털 모양)으로 잎가에 둔한 이빨모양의 톱니가 있다. 근생엽은 뭉쳐나고 꽃대로 올라오는 경엽의 잎차례는 어긋난다. 경엽은 피침형(披針形, 바늘처럼 가늘고 긴 모양)으로 위로 올라갈 수록 작아진다. 꽃은 흰색이고 열매는 단단한 깍정이에 둘러싸인 각과(殼果)로 편평한 도삼각형(倒三角形, 거꾸로 뒤집힌 삼각형 모양)이다.[6]

냉이 꽃은 다른 배추과 식물과 같이 네 꽃잎이 십자 모양을 이루며 서로 대칭을 보인다. 꽃차례는 성글게 모여 나는 총상(總狀) 꽃차례이다.[8]

생태

동유럽소아시아 지역이 원산이지만 전 세계 곳곳에서 자란다.[9] 지나치게 건조하지 않고 햇볕이 충분하면 정원, 목초지, 들판, 습지, 둑 따위를 가리지 않고 어디서나 자라며, 키는 10~50 cm이다.[6] 냉이는 브리튼섬의 대표적인 귀화식물 가운데 하나이고[10], 북아메리카에는 스페인식민주의 침략과 함께 전파되었는데, 캘리포니아주 전역에 널리 퍼져있다. 냉이는 500년이 흐르는 동안 북아메리카 서부에 크게 번성하여 지역 생태계를 교란하였다.[11]

냉이의 씨는 젖으면 끈적이는 합성물을 방출하는데, 수생 곤충이 거기에 달라붙어 끝내 죽고 만다. 그래서 모기가 유충일 때 방제하는 방법에 쓰일 수 있다. 그래서 냉이를 준식충식물이라 할 수 있다.[12] 냉이는 한번에 많은 씨를 흩뿌리는데 씨앗은 여름철엔 휴지기를 갖고 활동하지 않다가 가을에 싹을 낸다. 새로 난 싹은 근생엽 형태로 겨울을 나고 새 봄에 꽃대가 자라난다.[13]

쓰임새

씨, 잎, 뿌리를 모두 먹는다. 한국에서는 이른 봄에 냉이 잎을 캐 나물로 먹거나 여러 음식에 쓴다. 한방에서는 지혈제로 썼다. 초식 가축의 사료로도 쓰인다.

음식

냉이는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은 채소로 철분과 칼슘도 풍부하다. 냉이의 근생엽엔 콜린, 아세틸콜린, 푸마르산, 이노시톨 등이 들어있고, 열매 껍질엔 디오스민, 포도당 등이 들어있다. 잎에는 비타민A가 풍부한데 조리하여도 손실이 적다.[3] 봄철에 캔 냉이로 된장국을 끓여 먹거나[14], 데친 다음 양념과 버무려 나물 무침으로 먹는다.[15] 냉잇국은 뿌리를 같이 넣고 끓여야 제맛이 난다.[16]

냉이차

3~4월에 전초를 채취, 씻어 말린 후 10~15g을 물 500cc에 넣고 달여 마신다. 많이 마셔도 부작용이 없다. 혈압을 내려 주고, 눈을 맑게 한다.[17]

약재

잎을 달여 지혈제로 쓴다.[3]본초강목》에서는 혈액순환을 도와 간을 보하고 눈을 맑게 한다고 한다.[2] 냉이의 뿌리를 짓이겨 낸 즙을 안약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18] 씨를 제채자(薺菜子)라고 부르며, 약으로 쓴다. 역을 풀고, 풍을 제거하고, 눈을 밝게 하며, 오장을 보하는 효능이 있다. 맛은 달고 평이하다. 간(肝)에 작용한다.[19]

사료

냉이는 초식 가축에게 무기질을 공급하는 사료로 쓰인다.[20]

각주

  1. 박민희, 《약용식물의 효능과 재배법 (하)》, 문예마당, 2004년, ISBN 978-89-8299-154-7, 168쪽
  2. 최영전, 《한국민속식물》, 아카데미서적, 1997년, ISBN 89-7616-0770, 64쪽
  3. 성환길, 《몸에 좋은 건강 식물의 효능과 활용법》, 문예마당, 2003년, ISBN 89-8299-142-5, 222-223쪽
  4. https://ja.wikipedia.org/wiki/ナズナ#名前について
  5. Parnell, J. Curtis, T. 2012. Webb's An Irish Flora. p.262. Cork University Press ISBN 978-185918-4783
  6. 냉이(나생이), BRIC
  7. 이굴기의 꽃산 꽃글 - 달맞이꽃, 경향신문, 2014년 12월 1일
  8. 길에서 만난 들꽃이야기 - 냉이꽃의 합창, 제주투데이, 2017년 4월 15일
  9. Aksoy, A; Dixon, JM; Hale, WH (1998). "Biological flora of the British Isles.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kus (Thlaspi bursapastoris L., Bursa bursa-pastoris (L.) Shull, Bursa pastoris (L.) Weber)". Journal of Ecology. 86: 171–186. doi:10.1046/j.1365-2745.1998.00260.x
  10. Clapham, A.R.; Tutin, T.G.; Warburg, E.F. (1981). Excursion Flora of the British Isles (Thir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32902.
  11. B. NEUFFER and H. HURKA, Colonization history and introduction dynamics of Capsella bursa-pastoris(Brassicaceae) in North America: isozymes and quantitative traits, Molecular Ecology (1999)8, DOI: 10.1046/j.1365-294x.1999.00752.x
  12. 봄 냉이국, 겨울 냉이 무침, 충청타임즈, 2015년 12월 23일
  13. 김영철, 《풀꽃 아저씨가 들려주는 우리 풀꽃 이야기》, 우리교육, 2010년, ISBN 978-89-8040-441-4, 14-19쪽
  14. ACE 캠페인 특집 - 1교시 부시크래프트 - 나물과 꽃으로 풍성해지는 자연의 식단, 조선일보, 2017년 5월 17일
  15. 향긋한 봄내음 나는 냉이튀김과 냉이초고추장무침, 금강신문, 2017년 5월 11일
  16. 자연과 함께하는 사람들, 《한국의 산나물》, 문학사계, 2015년, ISBN 979-11-8582-515-1, 32쪽
  17. 정, 찬조 (1990). “산야초의 슬기로운 이용법 (5) : 냉이 ( 배추과 )”. 《자생식물》 16: 124. 2017년 10월 19일에 확인함. 
  18. 냉이, 문화콘텐츠 닷컴
  19. “제채자(薺菜子)”. 《한국전통지식포탈》. 특허청. 2007년 12월 6일. 2017년 10월 19일에 확인함. 
  20. Capsella bursa-pastoris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ECOCROP

외부 링크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