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사

이십사사
이름 저자 권수
사기 전한·사마천 130
한서 후한·반고·배인 100
후한서 유송·범엽·배송지 120
삼국지 서진·진수·배잠 65
진서(晉書) ·방현령·배행검 등 130
송서 ·심약 100
남제서 양·소자현 59
양서 당·요사렴 56
진서(陳書) 당·요사렴 36
위서 북제·위수 114
북제서 당·이백약 50
주서 당·영호덕분 50
수서 당·위징 85
남사 당·이연수 80
북사 당·이연수 100
구당서 후진·유후 200
신당서 ·구양수 225
구오대사 송·설거정 150
신오대사 송·구양수 74
송사 ·토크토 496
요사 원·토크토 등 116
금사 원·토크토 등 135
원사 ·송렴 210
명사 ·장정옥 332
신원사* 중화민국·커샤오민 257
청사고* 중화민국·자오얼쑨 536
v  d  e  h

금사》(金史, 만주어: ᠠᡳᠰᡳᠨ
ᡤᡠᡵᡠᠨ

ᠰᡠᡩᡠᡵᡳ
Aisin Gurun i Suduri)는 중국이십사사 중 하나로서, 금나라에 대한 역사책이다. 이 금사는 원나라토크토(脫脫) 등이 1343년 편찬을 시작하여 1344년 완성한 금나라의 기전체 역사서이다. 금사는 본기 19권, 지 39권, 표 4권, 열전 71권, 통계 13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진족의 흥기로부터 금나라의 건국과 멸망에 이르기까지가 기술되어 있다. 이후에 금국어해(金國語解) 1권이 추가되었다.

개요

본서 편찬 유래는 원나라 쿠빌라이 통치기인 중통2년(1261년)에 요나라와 금나라의 두 사서 편찬이 심의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주자학의 정통론이 문제가 되어, 좀처럼 사서의 형식이 정해지지 않고, 서적의 완성에는 시간이 걸렸다.

그 후, 순제는 지정3년(1343년) 3월에 요조, 금조, 송왕조의 세 역사서 편찬을 명령하였고, 중서우승상 토크토를 도총재관(최고 책임자), 한림학사 구양현 등 6명을 총재관(실질상의 책임자)로 삼아 편찬에 착수했다. 이렇게 지정5년(1345년) 10월, 요사, 금사, 송사의 세 역사서가 완성되었다. 중국의 역대 정사가 그렇듯이 금사도 또한 많은 사서를 밑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주요 참고 서적은 시조인 완안욱(完顏勖) 이하 십제실록 3권 외, 역대 제왕의 실록인 다음과 같은 것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 제왕관계
    • 태조실록(太祖實錄)
    • 태종실록(太宗實錄)
    • 희종실록(熙宗實錄)
    • 해릉실록(海陵實錄)
    • 세종실록(世宗實錄)
    • 장종실록(章宗實錄)
    • 선종실록(宣宗實錄)

위소왕(衛紹王)은 실록이 없었기 때문에 특별히 왕악이 남겨진 사서를 수집했다.

  • 기타 자료
이용한 자료는 많지만 금나라 말기의 기록으로 유명한 것이 원호문(元好問)의 《왕진잡편》(王辰雜編), 류기의 《귀잠지》(歸潜志), 왕악의 《여남유사》(汝南遺事), 양환의 《천흥근감》(天興近鑒) 등이 있다. 금, 요, 송의 세 역사 중 송사와 요사는 급하게 편찬되어 많은 오류가 존재한다. 그러나 금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비교적 균질한 실록이 존재하였다.
  2. 원호문 등이 남긴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3. 원초 몇 번이나 편찬을 거듭할 수 있었다.

내용

본기(本紀)

### 제목 시기(음력) 비고
권1 본기1 세기(世紀)
<여진족 추장>
권2 본기2 태조(太祖) 1113년 10월 ~ 1123년 8월
(태조(太祖) 원년 ~ 천보(天輔) 7년)
권3 본기3 태종(太宗) 1123년 6월 ~ 1135년 1월
(천보(天輔) 7년 ~ 천회(天會) 13년)
권4 본기4 희종(熙宗) 1135년 1월 ~ 1149년 12월
(천회(天會) 13년 ~ 황통(皇統) 9년)
권5 본기5 해릉왕(海陵王) 1149년 1월 ~ 1161년 11월
(황통(皇統) 9년 ~ 정륭(正隆) 6년)
권6 본기6 세종(世宗) 上 1161년 6월 ~ 1171년 12월
(정륭(正隆) 6년 ~ 대정(大定) 11년)
권7 본기7 세종(世宗) 中 1172년 1월 ~ 1180년 12월
(대정(大定) 12년 ~ 대정(大定) 20년)
권8 본기8 세종(世宗) 下 1181년 1월 ~ 1189년 1월
(대정(大定) 21년 ~ 대정(大定) 29년)
권9 본기9 장종(章宗) 1 1188년 12월 ~ 1192년 12월
(대정(大定) 28년 ~ 명창(明昌) 3년)
권10 본기10 장종(章宗) 2 1193년 1월 ~ 1197년 12월
(명창(明昌) 3년 ~ 승안(承安) 2년)
권11 본기11 장종(章宗) 3 1198년 1월 ~ 1203년 12월
(승안(承安) 3년 ~ 태화(泰和) 3년)
권12 본기12 장종(章宗) 4 1204년 1월 ~ 1208년 11월
(태화(泰和) 4년 ~ 태화(泰和) 8년)
권13 본기13 위소왕(衛紹王) 1208년 11월 ~ 1213년 9월
(태화(泰和) 8년 ~ 지녕(至寧) 원년)
권14 본기14 선종(宣宗) 上 1213년 8월 ~ 1216년 12월
(지녕(至寧) 원년 ~ 정우(貞祐) 4년)
권15 본기15 선종(宣宗) 中 1217년 1월 ~ 1219년 12월
(정우(貞祐) 5년 ~ 흥정(興定) 3년)
권16 본기16 선종(宣宗) 下 1220년 1월 ~ 1223년 12월
(흥정(興定) 4년 ~ 원광(元光) 2년)
권17 본기17 애종(哀宗) 上 1223년 12월 ~ 1232년 8월
(원광(元光) 2년 ~ 천흥(天興) 원년)
권18 본기18 애종(哀宗) 下 1232년 9월 ~ 1234년 1월
(천흥(天興) 원년 ~ 천흥(天興) 3년)
권19 본기19 세기보(世紀補)
<추존황제>

지(志)

### 제목 목록 비고
권20 지1 천문(天文) 일박식휘이운기(日薄食煇珥雲氣), 오월성능급성변(月五星凌犯及星變)
권21 지2 역(曆) 上 보기삭(步氣朔第一), 보괘후(步卦候第二), 보일전(步日躔第三)
권22 지3 역(曆) 下 보월이(步月離第五), 보교회(步交會第六), 보오성(步五星第七)
권23 지4 오행(五行)
권24 지5 지리(地理) 上 상경로(上京路), 함평로(咸平路), 동경로(東京路), 북경로(北京路), 서경로(西京路), 중도로(中都路)
권25 지6 지리(地理) 中 남경로(南京路), 하북동로(河北東路), 하북서로(河北西路), 산동동로(山東東路), 산동서로(山東西路)
권26 지7 지리(地理) 下 대명부로(大名府路), 하동북로(河東北路), 하동남로(河東南路), 경조부로(京兆府路), 봉상로(鳳翔路), 부연로(鄜延路), 경원로(慶原路), 임조로(臨洮路)
권27 지8 하거(河渠) 황하(黃河) 조거(漕渠)
권28 지9 예(禮) 1 교(郊)
권29 지10 예(禮) 2 방구의(方丘儀), 조일석월의(朝日夕月儀), 고매(高禖)
권30 지11 예(禮) 3 종묘(宗廟), 체겁(禘袷), 조향(朝享)、시향의(時享儀)
권31 지12 예(禮) 4 주고의(奏告儀), 황제공사의(皇帝恭謝儀), 황후공사의(皇后恭謝儀), 황태자공사의(皇太子恭謝儀), 천신(薦新), 공신배향(功臣配享), 보옥(寶玉), 집의(雜儀)
권32 지13 예(禮) 5 상존시(上尊諡)
권33 지14 예(禮) 6 원묘(原廟), 조갈의(朝謁儀), 조배의(朝拜儀), 별묘(別廟)
권34 지15 예(禮) 7 사직(社稷), 풍우뢰사(風雨雷師), 악진해독(嶽鎭海瀆)
권35 지16 예(禮) 8 선성묘(宣聖廟), 무성왕묘(武成王廟), 제신잡사(諸神雜祠)<제전대제왕(諸前代帝王), 장백산(長白山), 대방산(大房山), 혼동강(混同江), 가음후(嘉廕侯),
소응순제성후(昭應順濟聖後), 진안공(鎭安公), 서성공(瑞聖公)>, 정헌군왕묘(貞獻郡王廟), 기영(祈禜), 배천(拜天), 본국배의(本國拜儀)
권36 지17 예(禮) 9 국초즉위의(國初即位儀), 수존호의(受尊號儀), 원일성탄상수의(元日聖誕上壽儀), 조삼상조의(朝參常朝儀), 사사의(肆赦儀), 거하배적조의(臣下拜赦詔儀)
권37 지18 예(禮) 10 책황후의(冊皇后儀), 봉책황태후의(奉冊皇太后儀), 책황태자의(冊皇太子儀), 정단생일황태자수하의(正旦生日皇太子受賀儀), 황태자여백관상견의(皇太子與百官相見儀)
권38 지19 예(禮) 11 外國使入見儀 曲宴儀 朝辭儀 新定夏使儀注
권39 지20 악(樂) 上 雅樂 散樂 鼓吹樂 本朝樂曲
권40 지21 악(樂) 下 宗廟樂歌 殿庭樂歌 鼓吹導引曲、采茨曲
권41 지22 의위(儀衞) 上 常朝儀衛內外立仗、常行儀衛行仗 法駕黃麾仗
권42 지23 의위(儀衞) 下 大駕鹵簿 皇太后皇后鹵簿 皇太子鹵簿 親王傔從 諸妃嬪導從 百官儀從
권43 지24 예복(輿服) 天子車輅、皇后妃嬪車輦、皇太子車制、王公以下車制及鞍勒飾 輿服中 天子袞冕 視朝之服
皇后冠服 皇太子冠服 宗室及外戚並一品命婦 臣下朝服 祭服 公服 衣服通制
권44 지25 병(兵) 兵制 禁軍之制 養兵之法
권45 지26 형(刑)
권46 지27 식화(食貨) 1 戶口 通檢推排
권47 지28 식화(食貨) 2 田制 租賦 牛頭稅
권48 지29 식화(食貨) 3 錢幣
권49 지30 식화(食貨) 4 鹽 酒 醋稅 茶 諸征商 金銀之稅
권50 지31 식화(食貨) 5 榷場 和糴 常平倉 水田 區田之法 入粟鬻度牒
권51 지32 선거(選擧) 1 進士諸科
권52 지33 선거(選擧) 2 文武選
권53 지34 선거(選擧) 3 右職吏員雜選
권54 지35 선거(選擧) 4 部選 省選 廉察 薦舉 功酬虧永
권55 지36 백관(百官) 1 三師 三公 尚書省 六部 都元帥府 樞密院 大宗正府 御史臺 宣撫司 勸農使司 司農司 三司 國史院 翰林學士院 審官院 太常寺
권56 지37 백관(百官) 2 殿前都點檢司 宣徽院 秘書監 國子監 太府監 少府監 軍器監 都水監 諫院 大理寺 弘文院
登聞鼓院 登聞檢院 記注院 集賢院 益政院 武衛軍都指揮使司 衛尉司
戶禮兵刑工部所轄諸司 三路檢察及外路倉庫牧圉等職
권57 지38 백관(百官) 3 內命婦 宮人女職 東宮官屬 親王府屬 太后兩宮官屬 大興府 諸京留守司諸京城宮苑提舉等職
按察司 諸路總管府、諸府、諸節鎮、防禦、刺史、縣鎮等職 諸轉運泉谷等職
諸府鎮兵馬等職 諸猛安部族及群牧等職
권58 지39 백관(百官) 4 符制 印製 鐵券 官誥 百官俸給

표(表)

### 제목 비고
권59 표1 종실표(宗室表)
권60 표2 교빙표(交聘表) 上
권61 표3 교빙표(交聘表) 中
권62 표4 교빙표(交聘表) 下

열전(列傳)

열전
### 부제 목록 비고
권63 열전1 후비(后妃) 상 명의황후(明懿皇后), 사황후(思皇后), 절황후(節皇后), 공정황후(恭靖皇后), 위순황후 도단씨(威順皇后 徒單氏), 소숙황후 당괄씨(昭肅皇后 唐括氏), 익간황후 나라씨(翼簡皇后 拿懶氏), 정선황후 포찰씨(靖宣皇后 蒲察氏), 정혜황후 오고론씨(貞惠皇后 烏古論氏), 경희황후 당괄씨(敬僖皇后 唐括氏), 성목황후 당괄씨(聖穆皇后 唐括氏), 광의황후 배만씨(光懿皇后 裴滿氏), 흠헌황후 흘석렬씨(欽憲皇后 紇石烈氏), 선헌황후 복산씨(宣獻皇后 僕散氏), 태조숭비 소씨(太祖崇妃 蕭氏), 흠인황후 당괄씨(欽仁皇后 唐括氏), 도평황후 배만씨(悼平皇后 裴滿氏), 해릉적모 도단씨(海陵嫡母 徒單氏), 해릉모 대씨(海陵母 大氏), 해릉후 도단씨(海陵后 徒單氏)
권64 열전2 후비(后妃) 하 흠자황후 포찰씨(欽慈皇后 蒲察氏), 정의황후 이씨(貞懿皇后 李氏), 소덕황후 오림답씨(昭德皇后 烏林答氏), 세종원비 장씨(世宗元妃 張氏), 세종원비 이씨(世宗元妃 李氏), 효의황후 도단씨(孝懿皇后 徒單氏), 소성황후 유씨(昭聖皇后 劉氏), 흠회황후 포찰씨(欽懷皇后 蒲察氏), 장종원비 이씨(章宗元妃 李氏), 위소왕후 도단씨(衛紹王后 徒單氏), 선종황후 왕씨(宣宗皇后 王氏), 명혜황후 왕씨(明惠皇后 王氏), 애종황후 도단씨(哀宗皇后 徒單氏)
권65 열전3 시조이하제자
(始祖以下諸子)
완안알로(完顔斡魯), 완안배로(完顔輩魯), 완안발달(完顔拔達), 완안분납(完顔盆納), 완안사리홀(完顔謝里忽), 완안오고출(完顔烏古出), 완안발흑(完顔跋黑), 완안숭성(完顔崇成), 정국공 핵손(鄭國公 劾孫), 우국공 마파(虞國公 麻頗), 위정숙왕 알대(魏定肅王 斡帶), 위왕 알새(衛王 斡賽), 노공 알자(魯公 斡者), 운왕 앙(鄆王 昻)
권66 열전4 금원군왕 욱(金源郡王 勖), 종국공 외가(宗國公 隈可)
종실(宗室) 완안호십문(完顔胡十門), 완안합주(完顔合住), 완안괵보(完顔摑保), 완안충(完顔衷), 완안제(完顔齊), 완안출로(完顔朮魯), 완안호석개(完顔胡石改), 완안종현(完顔宗賢), 완안달라(完顔撻懶), 완안변(完顔卞), 완안고(完顔膏), 완안혁(完顔弈), 완안아희(完顔阿喜)
권67 열전5 오림답석현(烏林答石顯), 환난(桓赧), 온도오춘(溫都烏春), 흘석렬랍배(紇石烈臘醅), 흘석렬둔은(紇石烈鈍恩), 오고론류가(烏古論留可), 흘석렬아소(紇石烈阿疏), 해왕 회리보(奚王 回離保)
권68 열전6 대국충민공 환도(代國忠敏公 歡都), 완안야가(完顔冶訶)
권69 열전7 태조 제자(太祖諸子) 연왕 종준(兗王 宗雋), 조효도왕 종걸(趙孝悼王 宗傑), 위왕 종강(衛王 宗强), 조왕 종민(曹王 宗敏), 조왕 원(胙王 元)
권70 열전8 완안살개(完顔撒改), 완안습불실(完顔習不失), 완안석토문(完顔石土門)
권71 열전9 정왕 알로(鄭王 斡魯), 완안알로고발근(完顔斡魯古勃堇), 완안파로화(完顔婆盧火), 완안오찰홀(完顔吾紮忽), 노장양왕 도모(魯莊襄王 闍母)
권72 열전10 신장의왕 루실(莘壯義王 婁室), 촉무양왕 은출가(蜀武襄王 銀朮可), 완안습고내(完顔習古乃)
권73 열전11 수국강헌공 아리합문(隋國剛憲公 阿離合懣), 완안종도(完顔宗道), 초위민왕 종웅(楚威敏王 宗雄), 금원정헌왕 희윤(金源貞憲王 希尹)
권74 열전12 진환충왕 종한(秦桓忠王 宗翰), 송환숙왕 종망(宋桓肅王 宗望)
권75 열전13 노언륜(盧彦倫), 모자렴(毛子廉), 이삼석(李三錫), 공경종(孔敬宗), 이사기(李師夔), 심장(沈璋), 좌기궁(左企弓), 우중문(虞仲文), 조용의(曹勇義), 강공필(康公弼), 좌필(左泌)
권76 열전14 태종 제자(太宗諸子) 송왕 종반(宋王 宗磐), 빈왕 종고(豳王 宗固), 대왕 종아(代王 宗雅), 우왕 종위(虞王 宗偉), 등왕 종영(滕王 宗英), 설왕 종의(薛王 宗懿), 익왕 골라(翼王 鶻懶), 풍왕 종미(豊王 宗美), 운왕 신토문(鄆王 神土門), 곽왕 곡패속(霍王 斛孛束), 채왕 알렬(蔡王 斡烈), 필왕 종철(畢王 宗哲), 서왕 종순(徐王 宗順), 후왕 종본(厚王 宗本)
요지열왕 고(遼智烈王 杲), 요충렬왕 종간(遼忠烈王 宗幹)
권77 열전15 침충렬왕 종필(沈忠烈王 宗弼), 장방창(張邦昌), 유예(劉豫), 노왕 창(魯王 昌)
권78 열전16 유언종(劉彦宗), 유규(劉頍), 시립애(時立愛), 한기선(韓企先)
권79 열전17 역경(酈瓊), 이성(李成), 공언주(孔彦舟), 서문(徐文), 시의생(施宜生), 장중부(張中孚), 장중언(張中彦), 우문허중(宇文虛中), 왕륜(王倫)
권80 열전18 희종 2자(熙宗二子) 영도태자 제안(英悼太子 濟安), 위왕 도제(魏王 道濟)
사묘아리(斜卯阿里), 응국공 돌합속(應國公 突合速), 오연포로혼(烏延蒲盧渾), 적잔휘(赤盞暉), 대고(大㚖), 반(磐), 담국공 아리보(譚國公 阿離補)
권81 열전19 골모파(鶻謀琶), 적고질(迪姑迭), 아도한(阿徒罕), 협곡사노(夾谷謝奴), 아륵근몰도노(阿勒根沒都魯), 황괵적고본(黃摑敵古本), 포찰호잔(蒲察胡盞), 협곡오리보(夾穀吾里補), 왕백룡(王伯龍), 고표(高彪), 온체한포리특(溫蒂罕蒲里特), 백덕특리보(伯德特離補), 야율회의(耶律懷義), 소왕가노(蕭王家奴), 전호(田顥), 조위(趙隇)
권82 열전20 곽약사(郭藥師), 야율도산(耶律塗山), 오연호리개(烏延胡里改), 오연오리보(烏延吾里補), 소공(蕭恭), 완안습불주(完顔習不主), 흘석렬열호랄(紇石烈胡剌), 야율서(耶律恕), 곽기충(郭企忠), 오손와론(烏孫訛論), 안잔문도(顔盞門都), 복산혼탄(僕散渾坦), 정건충(鄭建充), 오고론삼합(烏古論三合), 이랄온(移剌溫), 소중공(蕭仲恭), 소중선(蕭仲宣), 고송(高松)
해릉 제자(海陵諸子) 완안광영(完顔光英), 숭왕 원수(崇王 元壽), 숙왕 신사아보(宿王 矧思阿補), 등왕 광양(滕王 廣陽)
권83 열전21 장통고(張通古), 장호(張浩), 장현소(張玄素), 장여필(張汝弼), 야율안례(耶律安禮), 납합춘년(納合椿年), 기재(祁宰)
권84 열전22 금원장양왕 고(金源莊襄王 杲), 누완온돈사충(耨碗溫敦思忠), 한국공 앙(漢國公 昻), 고정(高楨), 백언경(白彦敬), 장경인(張景仁)
권85 열전23 세종 제자(世宗諸子) 호여왕 영중(鎬厲王 永中), 정랄왕 영도(鄭剌王 永蹈), 월충간왕 영공(越忠簡王 永功), 노왕 영덕(潞王 永德), 예충헌왕 영성(豫忠獻王 永成), 기왕 윤승(夔王 允升)
권86 열전24 이석(李石), 완안복수(完顔福壽), 독길의(獨吉義), 오연포리흑(烏延蒲離黑), 오연포할노(烏延蒲轄奴), 오연사리(烏延査剌), 이사웅(李師雄), 이방고초올(尼厖古鈔兀), 패출로정방(孛朮魯定方), 협곡호랄(夾谷胡剌), 포찰알론(蒲察斡論), 협곡사랄(夾谷査剌)
권87 열전25 흘석렬지녕(紇石烈志寧), 복산충의(僕散忠義), 도단합희(徒單合喜)
권88 열전26 흘석렬양필(紇石烈良弼), 완안수도(完顔守道), 석거(石琚), 당괄안례(唐括安禮), 이랄도(移剌道)
권89 열전27 소보형(蘇保衡), 적영고(翟永固), 위자평(魏子平), 맹호(孟浩), 양숙(梁肅), 이랄조(移剌慥), 이랄자경(移剌子敬)
권90 열전28 조원(趙元), 이랄도(移剌道), 고덕기(高德基), 마풍(馬諷), 완안올불갈(完顔兀不喝), 유휘유(劉徽柔), 가소충(賈少沖), 이랄알리타(移剌斡里朶), 아륵근언충(阿勒根彦忠), 장구사(張九思), 고간(高衎), 양방기(楊邦基), 정위인(丁暐仁)
권91 열전29 완안살개(完顔撒改), 방적(龐迪), 온체한이실문(溫蒂罕移室懣), 신토문(神土懣), 이랄성(移剌成), 석말변(石抹卞), 양중무(楊仲武), 포찰세걸(蒲察世傑), 소회충(蕭懷忠), 이랄안답(移剌按答), 패출로아로한(孛朮魯阿魯罕), 조흥상(趙興祥), 석말영(石抹榮), 경사휘(敬嗣暉)
권92 열전30 모석(毛碩), 이상달(李上達), 조망지(曹望之), 대회정(大懷貞), 노효검(盧孝儉), 노용(盧庸), 이시(李偲), 도단극녕(徒單克寧)
권93 열전31 현종 제자(顯宗諸子) 운장혜왕 종(鄆莊惠王 琮), 영문경왕 괴(瀛文敬王 瑰), 곽왕 종이(霍王 從彝), 영돈의왕 종헌(瀛敦懿王 從憲), 온도민왕 개(溫悼敏王 玠)
장종 제자(章宗諸子) 강왕 홍유(絳王 洪裕), 형왕 홍정(荊王 洪靖), 영왕 홍희(榮王 洪熙), 영왕 홍연(英王 洪衍), 수왕 홍휘(壽王 洪輝), 갈왕 특린(葛王 忒鄰)
위소왕 자(衞紹王子) 양왕 종각(梁王 從恪), 완안거(完顔琚), 완안선(完顔瑄), 완안조(完顔璪)
선종 제자(宣宗諸子) 장헌태자 수충(莊獻太子 守忠), 형왕 수순(荊王 守純), 완안현령(完顔玄齡)
독길사충(獨吉思忠), 승유(承裕), 복산규(僕散揆), 말년사흘탑(抹撚史扢搭), 종호(宗浩)
권94 열전32 협곡청신(夾谷淸臣), 냠양무소왕 양(南陽武昭王 襄), 협곡형(夾谷衡), 도국공 안국(道國公 安國), 요리패질(瑤里孛迭)
권95 열전33 이랄리(移剌履), 장만공(張萬公), 포찰통(蒲察通), 점할알특랄(粘割斡特剌), 정휘(程輝), 유위(劉瑋), 동사중(董師中), 왕울(王蔚), 마혜적(馬惠迪), 마기(馬琪), 양백통(楊伯通), 이방고감(尼厖古鑑)
권96 열전34 황구약(黃久約), 이안(李晏), 이유(李愈), 왕분(王賁), 허안인(許安仁), 양양(梁襄), 노백달(路伯達)
권97 열전35 배만형(裴滿亨), 알륵충(斡勒忠), 장대절(張大節), 장형(張亨), 한석(韓錫), 등엄(鄧儼), 거구(巨構), 하양정(賀揚庭), 염공정(閻公貞), 초욱(焦旭), 유중수(劉仲洙), 이완(李完), 마백록(馬百祿), 양백원(楊伯元), 유기(劉璣), 강원필(康元弼), 이랄익(移剌益)
권98 열전36 완안광(完顔匡), 완안강(完顔綱)
권99 열전37 도단일(徒單鎰), 가현(賈鉉), 손탁(孫鐸), 손즉강(孫即康), 이혁(李革)
권100 열전38 맹주(孟鑄), 종단수(宗端脩), 완안여산(完顔閭山), 노탁(路鐸), 완안백가(完顔伯嘉), 출호균수(朮虎筠壽), 장위(張煒), 고횡(高竑), 이복형(李復亨)
권101 열전39 승휘(承暉), 말년진충(抹撚盡忠), 복산단(僕散端), 경단의(耿端義), 이영(李英), 패출로덕유(孛朮魯德裕), 오고론경수(烏古論慶壽)
권102 열전40 복산안정(僕散安貞), 전탁(田琢), 완안필(完顔弼), 몽고강(蒙古綱), 필란아로대(必蘭阿魯帶)
권103 열전41 완안중원(完顔仲元), 완안아린(完顔阿鄰), 완안정(完顔霆), 오고론장수(烏古論長壽), 완안좌(完顔佐), 완안교주(完顔齩住), 석말중온(石抹仲溫), 오고론례(烏古論禮), 포찰아리(蒲察阿里), 오둔양(奧屯襄), 완안포랄도(完顔蒲剌都), 협곡석리가(夾谷石里哥), 출갑신가(朮甲臣嘉), 흘석렬환서(紇石烈桓端), 완안이리불손(完顔阿里不孫), 완안철가(完顔鐵哥), 납란호로랄(納蘭胡魯剌)
권104 열전42 납탄모가(納坦謀嘉), 추곡(鄒谷), 고림(高霖), 맹규(孟奎), 오림답여(烏林答與), 곽우(郭俁), 온적한달(溫迪罕達), 왕확(王擴), 이랄복승(移剌福僧), 오둔충효(奧屯忠孝), 포찰사충(蒲察思忠), 흘석렬호실문(紇石烈胡失門), 완안우(完顔宇), 알륵합타(斡勒合打), 포찰이랄도(蒲察移剌都)
권105 열전43 정채(程寀), 임웅상(任熊祥), 공번(孔璠), 범공(范拱), 장용직(張用直), 유추(劉樞), 왕소(王翛), 양백웅(楊伯雄), 소공(蕭貢), 온체한체달(溫蒂罕締達), 장한(張翰), 임천총(任天寵)
권106 열전44 장위(張暐), 가익겸(賈益謙), 유병(劉炳), 출호고기(朮虎高琪), 이랄탑불야(移剌塔不也)
권107 열전45 고여려(高汝礪), 장행신(張行信)
권108 열전46 서정(胥鼎), 후지(侯摯), 파호로(把胡魯), 사안석(師安石)
권109 열전47 완안소란(完顔素蘭), 진규(陳規), 허고(許古)
권110 열전48 양운익(楊雲翼), 조병문(趙秉文), 한옥(韓玉), 풍벽(馮璧), 이헌보(李獻甫), 뇌연(雷淵), 정진(程震)
권111 열전49 고리갑석륜(古里甲石倫), 완안와가(完顔訛可), 살합련(撒合輦), 강신(强伸), 오림답호토(烏林答胡土), 완안사렬(完顔思烈), 흘석렬아오탑(紇石烈牙吾塔)
권112 열전50 완안합달(完顔合達), 이랄포아(移剌蒲阿)
권113 열전51 완안새불(完顔賽不), 완안백살(完顔白撒), 적잔합희(赤盞合喜)
권114 열전52 백화(白華), 사묘애실(斜卯愛實), 석말세적(石抹世勣)
권115 열전53 완안노신(完顔奴申), 최립(崔立), 이기(李琦), 섭천기(聶天驥), 적잔울흔(赤盞尉忻)
권116 열전54 도단올전(徒單兀典), 석잔여로환(石盞女魯歡), 포찰관노(蒲察官奴), 완안승립(完顔承立)
권117 열전55 도단익도(徒單益都), 점가형산(粘哥荊山), 왕빈(王賓), 국용안(國用安), 시청(時靑)
권118 열전56 묘도윤(苗道潤), 왕복(王福), 이랄중가노(移剌眾家奴), 무선(武仙), 장보(張甫), 장진(張進), 정안민(靖安民), 곽문진(郭文振), 호천작(胡天作), 장개(張開), 연녕(燕寧)
권119 열전57 점갈노신(粘葛奴申), 유천기(劉天起), 완안대누실(完顔大婁室), 완안중누실(完顔中婁室), 완안소누실(完顔小婁室), 오고론호(烏古論鎬), 장천강(張天綱), 완안중덕(完顔仲德)
권120 열전58 세척(世戚) 석가노(石家奴), 배만달(裴滿達), 홀도(忽睹), 도단공(徒單恭), 오고론포로호(烏古論蒲魯虎), 당괄덕온(唐括德溫), 오고론점몰갈(烏古論粘沒曷), 포찰아로질(蒲察阿虎迭), 오림답휘(烏林答暉), 포찰정수(蒲察鼎壽), 도단사충(徒單思忠), 도단역(徒單繹), 오림답복(烏林答復), 오고론원충(烏古論元忠), 당괄공(唐括貢), 오림답림(烏林答琳), 도단공필(徒單公弼), 도단명(徒單銘), 도단사희(徒單四喜)
권121 열전59 충의(忠義) 1 호사보(胡沙補), 특호(特虎), 복홀득(僕忽得), 점할한노(粘割韓奴), 조규(曹珪), 온체한포도(溫蒂罕蒲睹), 와리야(訛里也), 납란작적(納蘭綽赤), 위전(魏全), 선양(鄯陽), 협곡수중(夾穀守中), 석말원의(石抹元毅), 백덕매화상(伯德梅和尙), 오고손올둔(烏古孫兀屯), 고수약(高守約), 화속가안례(和速嘉安禮), 왕유한(王維翰), 이랄고여열(移剌古與涅), 송의(宋扆), 오고론영조(烏古論榮祖), 오고론중온(烏古論仲溫), 구주(九住), 이연(李演), 유덕기(劉德基), 왕의(王毅), 왕회(王晦), 제응양(齊鷹揚), 출갑법심(朮甲法心), 고석(高錫)
권122 열전60 충의(忠義) 2 오승가(吳僧哥), 오고론덕승(烏古論德升), 장순(張順), 마양(馬驤), 백덕와가(伯德窊哥), 오둔추화상(奧屯醜和尙), 종탄(從坦), 패출로복수(孛朮魯福壽), 오방걸(吳邦傑), 납합포랄도(納合蒲剌都), 여해렬알출(女奚烈斡出), 시무선(時茂先), 온체한로아(溫蒂罕老兒), 양지승(梁持勝), 가방헌(賈邦獻), 이랄아리합(移剌阿里合), 완안육근(完顔六斤), 흘석렬학수(紇石烈鶴壽), 포찰누실(蒲察婁室), 여해렬자록(女奚烈資祿), 조익(趙益), 후소숙(侯小叔), 왕좌(王佐), 황괵구주(黃摑九住), 오림답걸주(烏林答乞住), 타만사렬(陀滿斜烈), 이방고포로호(尼龐古蒲魯虎), 올안외가(兀顔畏可), 올안와출호(兀顔訛出虎), 점할정(粘割貞)
권123 열전61 충의(忠義) 3 도단향(徒單航), 완안진화상(完顔陳和尙), 양옥행(楊沃衍), 오고론흑한(烏古論黑漢), 타만호토문(陀滿胡土門), 희여작(姬汝作), 애신(愛申), 우현(禹顯), 장방헌(張邦憲), 유전(劉全)
권124 열전62 충의(忠義) 4 마경상(馬慶祥), 상형(商衡), 출갑탈로회(朮甲脫魯灰), 양달부(楊達夫), 풍연등(馮延登), 오고손중단(烏古孫仲端), 오고손노신(烏古孫奴申), 포찰기(蒲察琦), 채팔아(蔡八兒), 온돈창손(溫敦昌孫), 완안강산(完顔絳山), 필자륜(畢資倫), 곽하마(郭蝦蟆)
권125 열전63 문예(文藝) 상 한방(韓昉), 채송년(蔡松年), 오격(吳激), 마정국(馬定國), 임순(任詢), 조가(趙可), 곽장천(郭長倩), 소영기(蕭永祺), 호려(胡礪), 왕경(王競), 양백인(楊伯仁), 정자담(鄭子聃), 당회영(党懷英)
권126 열전64 문예(文藝) 하 조풍(趙渢), 주앙(周昻), 왕정균(王庭筠), 유앙(劉昻), 이경(李經), 유종익(劉從益), 여중부(呂中孚), 장건(張建), 이순보(李純甫), 왕욱(王郁), 송구가(宋九嘉), 방주(龐鑄), 이헌능(李獻能), 왕약허(王若虛), 왕원절(王元節), 손국강(孫國綱), 마구주(麻九疇), 이분(李汾), 원덕명(元德明)
권127 열전65 효우(孝友) 온체한알로보(溫蒂罕斡魯補), 진안(陳顔), 유유(劉瑜), 맹흥(孟興), 왕진(王震), 유정(劉政)
은일(隱逸) 저승량(褚承亮), 왕거비(王去非), 조질(趙質), 두시승(杜時升), 학천정(郝天挺), 설계원(薛繼元), 고중진(高仲振), 장잠(張潛), 왕여매(王汝梅), 송가(宋可), 신원(辛願), 왕여가(王予可)
권128 열전66 순리(循吏) 노극충(盧克忠), 우덕창(牛德昌), 범승길(范承吉), 왕정(王政), 장혁(張奕), 이첨(李瞻), 유민행(劉敏行), 부신미(傅愼微), 유환(劉煥), 고창복(高昌福), 손덕연(孫德淵), 조감(趙鑒), 포찰정류(蒲察鄭留), 여해열수우(女奚烈守愚), 석말원(石抹元), 장구(張彀), 조중복(趙重福), 무도(武都), 흘석렬덕(紇石烈德), 장특립(張特立), 왕호(王浩)
권129 열전67 혹리(酷吏) 고여산(高閭山), 포찰합주(蒲察合住), 영행(佞幸), 소이(蕭肄), 장중가(張仲軻), 이통(李通), 마흠(馬欽), 고회정(高懷貞), 소유(蕭裕), 서지국(胥持國)
권130 열전68 열녀(列女) 사리질(沙裏質), 이보신 처 왕씨(李寶信 妻 王氏), 한경민 처(韓慶民 妻), 뇌부 사씨(雷 婦 師氏), 강주주(康住住), 이문 처 사씨(李文 妻 史氏), 이영 처 장씨(李英 妻 張氏), 상기 처 난씨(相琪 妻 欒氏), 아로진(阿魯眞), 살합련 처 독길씨(撒合輦 妻 獨吉氏), 허고 처 유씨(許古 妻 劉氏), 풍묘진(馮妙眞), 포찰씨(蒲察氏), 오고론씨(烏古論氏), 소란 처(素蘭 妻), 망가 처 온특한씨(忙哥 妻 溫特罕氏), 윤씨(尹氏), 백씨(白氏), 섭순영(聶舜英), 중덕 처(仲德 妻), 보부 이씨(寶符 李氏), 장봉노(張鳳奴)
권131 열전69 환자(宦者) 양충(梁珫), 송규(宋珪), 반수항(潘守恆)
방기(方伎) 유완소(劉完素), 장종정(張從正), 이경사(李慶嗣), 기천석(紀天錫), 장원소(張元素), 마귀중(馬貴中), 무정(武禎), 이무(李懋), 호덕신(胡德新)
권132 열전70 역신(逆臣) 승덕(秉德), 당괄변(唐括辯), 오대(烏帶), 대흥국(大興國), 도단아리출호(徒單阿里出虎), 복산사공(僕散師恭), 도단정(徒單貞), 이노승(李老僧), 완안원의(完顔元宜), 흘석렬집중(紇石烈執中)
권133 열전71 반신(叛臣) 장각(張覺), 야율여도(耶律餘睹), 와알(窩斡)
권134 열전72 외국(外國) 상 서하(西夏)
권135 열전73 외국(外國) 하 고려(高麗)

금국어해(金國語解)

  • 금국어해(金國語解) - 관칭(官稱), 인사(人事), 물상(物象), 물류(物類), 성씨(姓氏)

부록(附録)

  • 부록(附錄) - 진금사표(進金史表), 수사관원(修史官員), 금사공문(金史公文), 간각관원(刊刻官員)

한국어 번역

이성규, 박원길, 윤승준, 류병재가 공동으로 번역하여 전 4권으로 간행했다. 출판사는 단국대학교출판부이다.

같이 보기

Strategi Solo vs Squad di Free Fire: Cara Menang Mud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