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일본어: 空中ブランコ)는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이다. 정신과 의사 이라부 시리즈의 2탄. 제 131회 나오키상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에는 은행나무에서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공중그네〉,〈고슴도치〉, 〈장인의 가발〉,〈3루수〉,〈여류작가〉로 구성되어있다.
2005년에는 특별 드라마로 제작, 2009년에는 소설을 원작으로 한 동명 타이틀 애니메이션이 제작되어 후지테레비에서 방영.
등장인물
이라부 이치로
이라부 종합병원 신경과 의사. 주사를 좋아해 환자에게는 일단 주사를 놓는다. 야마시타의 제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난 가벼우니까"라며 공중그네에 도전하는 등 대범한 성격.
학창시절에는 겉늙은 얼굴때문에 동급생들 사이에서는 강사로 오해받는 일이 많았다. 의학부의 재앙이라 불리며 성가신 취급을 받았으며, 대학을 졸업한 후에는 소아과 의사가 되었으나, 빈번하게 환자의 아이와 똑같은 정신연령으로 싸워 클레임이 쇄도하자, 신경과로 옮겼다. 대학졸업 자체가 아키시노노미야 친왕의 성혼특사였다, 의사국가시험 합격에 프리메이슨이 관여했다는 등 성적에 많은 의혹이 있다.
마유미
신경과 간호사. F컵의 글래머. 노출이 많은 옷을 즐겨입는다. 이라부와 함께 왕진을 나갔을 때는 호피 무늬의 핫팬츠를 입고 있었다.
야마시타 코헤이
〈공중그네〉의 주인공. 서커스에서 공중그네 연기를 담당하고 있다. 플라이어 경력 7년으로, 공중그네 담당단원 리더. 양친 모두 서커스 단원이었다. 거듭해서 실수를 반복하자 아내와 단원들이 정신과를 추천하여 방문하게 된다. 점프를 실패하는 것은 파트너가 심술을 부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노 세이지
〈고슴도치〉의 주인공. 시부야 일대를 거점으로 하는 야쿠자. 기노이 일가의 부두목. 과거에는 "시부야의 멧돼지"라 불리는 잘 나가는 건달이었다. 젓가락도 쓰지 못할 정도의 선단공포증이며, 식사를 할 때는 스푼을 사용한다. 내연의 아내에게 권유받아 신경과의 진찰을 받는다.
이케야마 타츠로
〈장인의 가발〉주인공. 대학 강사로, 부속병원에서 근무하는 신경과 의사. 장인어른이 의학부 학부장으로 취임하여 전도양양. 이라부와는 의대생 시절 동급생. 비상벨 버튼을 누르고 도망치고 싶은 충동이나, 질서정연하게 정돈된 것을 부수고 싶어하는 강박신경증. 장인어른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가발을 쓰고 있어, 볼 때바다 벗기고 싶은 충동에 시달리고 있다.
반도 신이치
〈3루수〉의 주인공. 프로야구 선수. 프로입단 10년차의 베테랑 3루수. 어느 연습시합에서 젊은 신인 루키에게 별나다는 야유를 듣고 폭투한 이후, 1루에 제대로 송구할 수 없게 된다. 오른쪽 어깨가 아프다고 속이고 지금은 부상자로 1군에서 빠져있다.
호시야마 아이코
〈여류작가〉의 주인공. 도시남녀의 심리상태를 그린 당대 최고라 불리는 소설가. 신작을 집필하던 중 예전에 썼던 내용이 아닐까 불안해진다. 심원성 구토증을 앓았으며 완치했지만 2년 만에 증세가 재발하여 신경과에 찾아간다.
어느날 갑자기 점프를 성공하지 못하게 되어 불면증에 시달리는 공중그네 플라이어 야마시타 코헤이, 선단공포증의 야쿠자 이노, 과대 망상으로 자의식 과잉인 모델 히로미. 그들은 각자 고민을 안고 정신과 의사 아라부를 찾아가 카운셀링을 받는다. 하지만 치료법은 언제나 비타민 주사를 놓아줄 뿐, 호기심 왕성한 아라부의 기상천외한 행동에 환자들은 당황해 하며 해프닝에 휘말린다. 과연 그들의 병은 나을 것인지?
2009년10월 15일부터 후지테레비노이타미나 계열에서 방송. 이라부 이치로가 연출상 곰인형 탈을 쓴 비만체(대) 곰 귀 머리띠를 쓰고 안경을 낀 마른 체형의 미청년(중), 헐렁한 백의를 걸치고 반바지를 입은 소년(소)의 세가지 모습으로 등장하거나, 그 외의 캐릭터도 원작에 없거나 혹은 설정이 바뀌어 등장한다. 《하이브리드 애니메이션》을 표방하여 실사 영상을 섞어 제작하였으며, 마유미 역의 스기모토 유미의 얼굴과 전신, 게다가 매회 환자로 등장하는 메인캐스트 성우는 실제 얼굴과 애니메이션을 합성하여 부분적으로 출연한다. 따라서 메인 캐스트의 캐릭터 디자인도 실제 얼굴을 원본으로 하여 제작되었으며 그 외에도 생물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장면도 있다. 후쿠이치, 즉 후쿠이 켄지도 실제 얼굴과 애니메이션을 합성하여 제작된 것이며 용어나 증상, 증세의 예시, 치료 현실이나 상이점등을 해설하는 역으로 등장한다.